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1109년(고려 예종 4) 국학(國學:국자감)에 설치한 7개의 전문 강좌.
이때 발달하고 있던 최충(崔冲)의 9재를 모방하여 설치했으며, 이에 따라 국자감 학생은 본래부터 있어온 국학학생과 재생(齋生)으로 분립되었다.
하나의 재(齋)에서 한 과목을 전문적으로 강의하여 〈주역 周易〉을 강의하는 곳을 여택재(麗澤齋), 〈상서 尙書〉를 강의하는 곳을 대빙재(待聘齋), 〈모시 毛詩〉를 강의하는 곳을 경덕재(經德齋), 〈주례 周禮〉를 강의하는 곳을 구인재(求仁齋), 〈대례 戴禮〉를 강의하는 곳을 복응재(服膺齋), 〈춘추 春秋〉를 강의하는 곳을 양정재(養正齋), 〈무학 武學〉을 강의하는 곳을 강예재(講藝齋)라 했다. 그런데 7강좌를 다시 유학(儒學) 6강좌와 무학(武學) 1강좌를 분류함에 따라 앞의 6재는 유학재라 하고, 강예재는 무학재라 했다.
정원은 처음에 유학재 70명, 무학재 8명으로 정했으나, 10년 뒤 각각 60명·17명으로 조정되었다. 예종은 당시 북방에서 일어나는 여진족을 정벌하기 위하여 무관을 양성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반대여론에도 불구하고 국자감에 무학재를 설치했으며, 오히려 뒤에는 정원을 조정해서 무학재에 인원을 더 배정했다. 그러나 1133년(인종 11)에 무학재인 강예재를 폐지함으로써 7재는 6재로 개편되었다.→ 국자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