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절지동물 > 거미강 > 진드기목 > 진드기과 |
---|---|
서식지 | 기수(汽水), 민물, 온천, 흙, 식물 위 등 동물체에 기생 |
크기 | 약 0.2cm ~ 1cm |
학명 | Haemaphysalis |
식성 | 육식 |
임신기간 | 약 30일 |
요약 진드기목 진드기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민물, 온천, 흙 등 여러 서식처에서 살며, 동물의 몸 안팎에 기생한다. 동물의 코의 통로, 폐, 위 등 깊은 신체조직 속에서도 살 수 있다. 사람과 동물에게 질병을 옮기기도 한다. 식물을 먹는 진드기는 바이러스성 질병을 매개함으로써 손상을 일으킨다. 진드기는 크기가 작아서, 가장 큰 것이 약 6mm이며 보통 4쌍의 다리가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공기관으로 호흡하지만, 피부를 통해 호흡하기도 한다. 진드기 중에는 해롭지 않고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것도 있다.
개요
거미강 진드기목 진드기과 절지동물의 총칭. 학명은 Haemaphysalis이다. 민물, 온천, 흙 등 여러 서식처에서 살며, 동물의 몸 안팎에 기생한다. 일부 진드기는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치명적인 질병을 매개하는데, 곡물 진드기류는 저장물을 손상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에 자극을 일으킨다. 옴진드기류는 사람 피부의 조직층에 구멍을 파고 들어갈 뿐 아니라 개·돼지·양·염소의 가죽을 파고 들어 상처를 내기도 한다. 진드기들이 매개하는 전염병에는 라임병, 인간과립구성 에를리히아증, 야토병, 로키산 홍반열, 재귀열, 콜로라도 진드기열 등이 있다.
형태
가장 큰 것이 약 6mm에 불과할 정도로 크기가 매우 작다. 머리, 가슴, 배가 한 몸이며, 보통 4쌍의 다리가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공기관으로 호흡하지만, 피부를 통해 호흡하기도 한다.
종류
기생성진드기목 중기문진드기아목(중기문아목이라고도 함)에는 사람을 공격하는 닭진드기·북방가금진드기·쥐진드기, 개와 새의 코진드기류, 원숭이의 폐진드기류, 그리고 수목과 다른 식물들의 잎 위에 있는 포식성 진드기가 포함된다. 때때로 포식성 진드기는 식물을 먹는 진드기를 방제하는 데 유익하다.
진드기목(Acariformes) 은기문진드기아목(Oribatida)은 토양과 부식토, 그리고 이따금 나무의 줄기와 잎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해롭지 않고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몇몇 종은 새김질동물에 촌충을 매개한다. 진드기목 무기문진드기아목(Astigmata, 또는 무기문아목)에는 가루진드기류(Acaridae), 사람 및 동물의 옴진드기류(Sarcoptidae), 양진드기류(Psoroptidae), 새의 깃진드기류, 곤충과 관련이 있는 진드기 따위가 포함된다.
당진드기과(Glycyphagidae)의 곡물진드기류는 저장 생산물을 손상할 뿐만 아니라 이 생산물을 다루는 사람의 피부에 자극을 일으킨다. 옴진드기류는 사람 피부의 조직층에 구멍을 파고 들어갈 뿐 아니라 개·돼지·양·염소의 가죽을 파고 들어 상처를 내기도 한다. 양진드기류는 양과 소에서 발견되며, 심한 상처를 주기도 한다. 어떤 것들은 새의 기낭에서 또는 박쥐의 코 통로와 위에서 발견된다.
진드기목 전기문아목(Prostigmata)의 어떤 유충은 곤충에 기생하지만, 유충기가 지나면 보통 자유생활을 한다. 그러나 붉은벨벳진드기의 성체는 곤충에 기생하는 것 같다. 이 진드기들의 붉은 빛깔은 이들의 불쾌한 분비물에 대해 다른 생물들에게 경고하는 데 기여하는 것 같다.
질병과의 관계
진드기 중 유해한 진드기는 치명적인 질병을 매개한다. 특히 독이 있는 진드기의 경우 진드기독이 퍼져서 발과 다리에서부터 몇 시간부터 몇 일에 걸쳐 근육통과 팔, 머리까지 마비가 일어나기도 한다. 진드기를 제거하면 마비는 회복되지만, 진드기를 찾아내지 못할 경우에는 호흡을 조절하는 근육까지 마비되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