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행일 | 1946년 06월 01일 |
---|---|
폐지일 | 2014년 07월 01일 |
요약 충청북도 서부 중앙에 1946년 6월 1일부터 2014년 6월 30일까지 존재했던 군. 2014년 7월 1일 청주시에 통합되었다.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서부에 1946년 6월 1일부터 2014년 7월 1일까지 존재했던 옛 행정구역. 청주시를 둘러싸고 있었다. 충청북도 최대의 곡창지대인 미호평야가 펼쳐져 있는 곳으로 근교농업과 낙농업이 활발하고 교통이 편리했다. 행정구역은 내수읍·오창읍, 가덕면·강내면·강외면·남이면·남일면·낭성면·문의면·미원면·부용면·북이면·옥산면·현도면 등 2개읍12개면 575개 동리가 있었으며(행정리 기준, 법정리 기준 251개리), 군청소재지는 청주시 상당구 상당로에 있었다. 면적 779.06㎢, 인구 15,4865(2014).
연혁
청원군은 옛 청주목과 문의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문의면 일대에서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어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인간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옛 청주목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상당현이었으며, 문의현 지역은 일모산군이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 후 685년(신문왕 5)에 청주에는 서원소경이 설치되고, 757년(경덕왕 16)에는 서원경으로 개칭되었다. 일모산군은 이때 연산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청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983년(성종 2)에 청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을 둘 때 청주목이 설치되고, 양광도에 소속되었다. 문의는 이때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259년(고종 46)에 문의현으로 승격했다. 조선에 들어서도 청주목과 문의현을 유지했다. 청주는 충청도라는 도(道) 이름을 대표했던 충청도의 중심적인 고장으로서 임진왜란 이후에는 충청도의 병마절도사영도 위치했던 행정·군사 중심지였다. 별호는 낭성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문의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에 의해 청주군이 청주면·사주면·북일면·북이면·미원면·남성면·남일면·남이면·강서면·강내면·강외면·옥산면·오창면으로 통폐합되었다. 이때 문의군이 폐지되었는데 회인군과 청주군 일부 지역과 함께 동면으로 흡수되어 가덕면으로 개편되었다. 문의군의 나머지 지역은 용흥면· 부용면·양성면·현도면으로 개칭되었다.
1930년에 용흥면·양성면이 문의면으로 통합되었으며, 1931년에는 청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6년에 청주읍이 청주부로 승격되자 나머지 지역은 청원군으로 명명되었다. 1949년 청주부는 청주시가 되었다. 청주시의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1963년에 사주면, 1983년에 강서면이 청주시로 편입되었다. 1995년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갈산리가 부용면에 편입되었다.
2000년 북일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내수읍으로 개칭되었다. 2006년 오창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2012년 1월에는 강외면이 읍으로 승격되고 오송읍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같은 해 7월 부용면 8개리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고, 외천리는 남이면에 편입되어 부용면이 폐지되었다. 2014년 7월 1일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된 도농복합시로 출범하여 청원군은 폐지되었다(→ 문의현).
연혁
청원군은 옛 청주목과 문의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문의면 일대에서는 구석기시대의 유물이 출토되어 아주 오래전부터 이곳에서 인간이 거주했음을 보여준다.
옛 청주목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상당현이었으며, 문의현 지역은 일모산군이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 후 685년(신문왕 5)에 청주에는 서원소경이 설치되고, 757년(경덕왕 16)에는 서원경으로 개칭되었다. 일모산군은 이때 연산군으로 개칭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에 청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983년(성종 2)에 청주목으로 승격되었다. 995년 전절군절도사가 파견되었다가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을 둘 때 청주목이 설치되고, 연산군 등 2개의 속군과 진주현 등 8개의 속현을 거느리는 큰 고장이었으며, 양광도에 소속되었다. 문의는 이때 청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둠으로써 독립했으며, 1259년(고종 46)에 문의현으로 승격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조선에 들어서도 청주목과 문의현을 유지했다. 청주는 충청도라는 도(道) 이름을 대표했던 충청도의 중심적인 고장으로서 임진왜란 이후에는 충청도의 병마절도사영도 위치했던 행정·군사 중심지였다. 별호는 낭성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공주부 청주군·문의군,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문의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 때 비입지인 주안면이 회덕군으로, 덕평면이 전의군으로, 두입지 수신면이 목천군으로 이관되어 청주의 면적이 줄어들었다.
1914년 군면폐합에 의해 청주군 동주내면(일부)·북주내면(일부)·남주내면(일부)이 청주면으로, 동주내면·서주내면·남주내면·북주내면의 각 일부가 사주면으로, 산외일면·북강내일면이 북일면으로, 산외이면·북강내이면과 청안군 서면이 북이면으로, 내일면·산내이상면 일부가 미원면으로, 산내이하면·산내이상면(일부)이 낭성면으로, 남일상면(일부)·남일하면이 남일면으로, 남이면·남차이면이 남이면으로, 서강내일상면·서강내일하면이 강서면으로, 서강내이상면·서강내이하면이 강내면으로, 서강외일상면·서강외일하면이 강외면으로, 서강외이상면·서강외이하면이 옥산면으로, 북강외일상면·북강외일하면·북강외이면이 오창면으로 통합되었다. 이때 문의군이 폐지되고 동면과 회인군 북면, 청주군 남일상면(일부)이 가덕면으로, 남면이 용흥면으로, 삼도면이 부용면으로, 읍내면·북면이 양성면으로, 일도면·이도면이 현도면으로 통합 또는 개칭되었다.
1930년에 용흥면·양성면이 문의면으로 통합되었으며, 1931년에는 청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6년에 청주읍이 청주부로 승격되었다가 1949년에 청주시로 개칭됨에 따라 나머지 지역은 청원군으로 명명했다. 청주시의 확장이 이루어지면서 1963년에 사주면, 1983년에 강서면이 청주시로 편입되었으며, 1977년에는 문의면에 대청댐이 완공되었다. 1995년 충청남도 연기군 동면 갈산리가 부용면에 편입되었다. 2000년 북일면이 내수읍으로 승격및 명칭이 변경되었다(→ 문의현).
자연환경
소백산맥의 지맥이 뻗어내려 군의 동부와 남부에는 좌구산(座龜山:657m)·구녀산(484m)·인경산(仁景山:582m)·미동산(米東山:558m)·선도산(仙到山:547m)·선두산(先頭山:527m)·관봉(407m)·성무봉(星武峰:431m)·백족산(白足山:413m)·국사봉(587m)·구봉산(370m)·샘봉산(462m) 등이 솟아 있다. 반면 군의 북부와 서부에는 불당산(佛堂山:247m)·약사산(藥師山:245m)·망덕산(望德山:272m)·동림산(東林山:457m) 등의 대체로 낮은 구릉성 산지들이 솟아 있어 청주분지를 이루고 있으며, 군내에는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주요하천으로는 군의 남서부 경계를 흐르는 금강과 군의 북서부를 가로지르는 미호천이 있다. 미호천은 북쪽에서 보강천(寶岡川)·성암천·석화천(石花川) 등의 지류를 합하고 서쪽으로 오면서 용두천(龍頭川)과 병천천 등의 지류를 합하여 금강에 유입된다. 그밖에 하천으로는 북쪽으로 흘러 청주시를 관류한 후 미호천에 합류하는 무심천과 동쪽 산악지대를 흐르는 미원천(米院川)·구룡천, 서부경계를 흐르는 조천(鳥川) 등이 있다.
미호천과 그 지류를 중심으로 북이면·북일면·옥산면·오창면·강외면·강내면 등지에 비옥한 미호평야가 발달했으며, 무심천이 흐르는 가덕면·남일면 지역에도 비교적 넓은 평야가 이루어졌다.
군의 남쪽 대전광역시와의 경계에 있는 대청호(大淸湖)는 주변 평야지대의 관개용수 및 공업용수·발전용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기후는 중부 내륙지방에 위치하고 있어 기온의 교차가 심한 대륙성기후를 나타낸다. 연평균기온 12.1℃내외, 1월평균기온 -0.7℃ 내외 , 8월평균기온 25.5℃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1,265.0㎜ 정도이다. 식생은 침엽수림과 낙엽수림이 혼재되어 있다.
인구
1966년에 22만 452명으로 최대의 인구수를 나타낸 이후 한국 대부분의 농촌지역에서 나타나는 이촌향도 현상과 청주시의 시역확장에 따른 행정구역의 축소로 인구가 감소했다. 1970년에는 인구가 20만 4,215명으로 1960년의 20만 8,436명에 비해 2.0%의 감소율을 보였으나, 1980년에는 17만 3,398명으로 1970년 대비 15.1%의 감소율을 보였다.
1994년에는 11만 8,000명으로 1980년 대비 31.9%의 감소율을 보여 인구감소가 심화되고 있다. 1994년 현재 인구이동상황은 전입이 1만 312명, 전출이 1만 4,240명으로 전출이 더 많으며, 전입·전출 모두 도내에서의 이동이 많다.
2006년 현재 인구는 13만 8,707명으로 1994년대비 17.5%의 증가율을 보이고있다. 인구이동은 전입이 3만 6,666명, 전출이 2만 128명으로 전입이 더 많으며 전입출 모두 도내이동이 많다. 청주시 주변지역인 오창읍(3만 116명)·내수읍(2만 3,020명)·옥산면(1만 1,462명) 등에 인구가 많이 분포하고 낭성면(2,517명)·가덕면(4,720명) 등의 동부 산간 및 외곽지역은 인구가 적게 분포한다.
산업과 교통
충청북도 제일의 곡창지대로 미호천변의 미호평야를 중심으로 미곡생산과 교통의 발달에 따른 근교농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총경지면적 210.92㎢ 가운데 논 122.79㎢, 밭 88.13㎢로 논이 많으며, 경지율은 25.9%이다(2006). 이곳의 쌀 생산량은 5만 5,957t으로 충청북도 전체 쌀 생산량(28만 8,203t)의 2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2006). 주요 농산물은 인근 청주시, 대전광역시, 연기군 조치원읍 외에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 등지로 반출된다. 동남부 산간지역에서는 콩·감자·고구마 등의 밭작물과, 인삼·잎담배·땅콩·참깨 등의 재배가 활발하다.
강외면·옥산면 일대의 무 산지에서는 충청북도 전체 단무지 생산량의 1/3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전국 굴지의 양잠지로 청주시와 조치원읍 등에서는 이곳의 누에고치를 원료로 한 제사공업이 발달했으나, 지금은 점차 쇠퇴하고 있다. 고속도로의 개통 이후 편리한 교통을 이용한 낙농업이 발달하여, 오창면·북일면·북이면을 중심으로 충청북도 최대의 낙농단지가 조성되었다. 군내에 있는 45개소의 광구 가운데 6개소가 가행되고 있다. 6개 광구가 비금속광으로(2006) 가덕면, 문의면에서 석회석 등이 산출되고 있다. 또한 내수읍 초정리의 초정약수와 부용면 문곡리의 부강약수는 천연 사이다의 원료로 이용되는 이 지역의 경제자원이다. 군내에는 706개소의 공장에 2만 6,002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으며(2006), 공장은 주로 내수읍·강내면·강외면 등지에 분포하고 내수읍·현도면·부용면에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주요공장으로는 북일면에 음료수 생산업체인 (주)일화와 백학소주 공장, 옥산면에 우유생산업체인 (주)서주산업, 부용면에 대규모 PVC 공장(한화 그룹)이 있다. 부용면의 부강리 일대는 과거 금강수운을 이용한 충청북도 지방의 문호로서 상업이 발달했으나, 경부선과 충북선의 개통 이후 그 기능이 조치원읍으로 이동했으며, 최근에는 도로교통이 발달하면서 상권의 상당부분이 청주시로 옮겨갔다. 정기시장도 쇠퇴하여 지금은 문의면·미원면 등 2개면에서만 열리고 있다.
경부선이 군의 남서부를 지나 대전광역시로 이어지며, 조치원읍에서 분기한 충북선이 군의 북부를 남서-북동 방향으로 뻗어 있다.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군의 서쪽을 지나면서 남이면에서 합류하고 있어 이 지역은 현재 중부 내륙지방의 교통 요충지로 부상하고 있다. 진천-대전을 잇는 국도가 군의 남북을 지나며, 충주-공주, 청주-상주, 괴산-영동을 연결하는 국도가 군을 지난다.
도로총길이 644.27km, 도로포장률 77.7%이다(2006).
유물·유적·관광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3,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22, 무형문화재 2, 기념물 13, 민속자료 2), 문화재자료 5점이 있다. 구석기시대 유적으로 문의면 노현리 두루봉동굴의 중기구석기유적과 문덕리 샘골유적이 있으며, 문의면 도원리와 가호리의 입석 및 지석묘, 가덕면의 입석, 미원면의 지석묘 등 청동기시대 유적이 군내 곳곳에 남아 있다. 삼국시대 유적으로는 가덕면의 백제고분과 강외면·북일면·북이면에 고분이 있으며, 산성으로 북이면의 낭비성(娘臂城), 미원면의 구녀성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남이면의 안심사대웅전(安心寺大雄殿:보물 제664호)·안심사세존사리탑(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안심사비로전(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과 가덕면의 청원계산리5층석탑(보물 제511호), 북일면의 비중리일광삼존불상(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4호), 문의면의 청원월리사대웅전(淸原月裡寺大雄殿: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58호), 미원면의 구려사파불(句麗寺破佛), 가덕면의 백족사3층석탑, 북이면의 흥복사지석탑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문의면의 문의향교(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94호), 가덕면 구봉영당(九峰影堂)의 보한재영정(保閒齋影幀:보물 제613호), 북이면 문숙공영당(文肅公影堂)의 윤관영정(尹瓘影幀: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0호), 낭성면의 묵정영당(墨井影堂: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08호)·단재영정각(丹齋影幀閣), 북일면 죽림영당의 을축갑회도 및 죽림갑계문서(乙丑甲繪圖─竹林甲稧文書: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35호), 남일면의 체화당사(棣華堂祠:충청북도 기념물 제73호) 등이 있다. 건축물로는 관아의 객사로 쓰였던 문의면의 문산관(文山館: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9호), 가덕면의 신형호고가(申鑅浩古家: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48호), 부용면의 유계화가옥(柳桂和家屋), 낭성면의 청원과필헌고가(淸原果必軒古家:충청북도 민속자료 제8호), 북일면의 삼세충효문(충청북도 기념물 제40호), 현도면의 지선정(止善亭)·월송정(月松亭), 미원면의 세심정(洗心亭) 등이 있다. 그밖에 북이면의 최명길(崔鳴吉) 묘 및 신도비, 낭성면의 신중엄신도비(申仲淹神道碑), 남이면의 박광우(朴光佑) 묘 및 신도비와 유물, 옥산면의 강감찬장군 추모비 등이 있다. 강외면 공북리에는 수령 700년 정도 된 음나무(천연기념물 제305호)가 있다.
교통이 편리하고 문화유적과 자연관광자원이 많아 관광산업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는 곳이다. 군내 곳곳에 흩어져 있는 문화유적 외에 주요관광명소로는 문의면의 대청호를 비롯하여 북일면의 초정약수, 부용면의 부강약수가 있다. 그러나 대청호 2/3 정도의 지역은 상수도원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낚시를 제외한 일체의 유락행위가 금지되고 있다.
연간관광객수는 317만 명 정도이다(2006).
교육과 문화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현도면의 노봉서원, 문의면의 문의향교, 낭성면의 쌍천서원, 옥산면의 송천서원·봉계서원, 북일면의 국계서원 등 많은 서원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6년에 설립된 옥산면의 사립덕신학교를 시작으로 1909년에 문의면의 문흥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2006년 현재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33개소, 초등학교 36개교(분교 7개교 포함),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 8개교와 고등교육기관으로 충청대학·주성대학·한국교원대학교·꽃동네현도사회복지대학교가 있다.
주요민속놀이로는 줄다리기·씨름 등이 있다. 동제로는 옥산면 가락리의 산신제, 미원면 운룡리의 수살제, 가덕면 한계리의 산신제 등이 지금도 소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구전되는 설화로는 〈구녀성설화〉·〈노고성설화〉·〈몽단이고개전설〉·〈오창의 지네장터전설〉 등이 있다. 민요로는 〈베틀노래〉·〈집터다지는 노래〉·〈운상가 運喪歌〉·〈가래질노래〉 등이 전하고 있다.
2006년 현재 의료기관은 병원 1개소, 의원 34개소, 특수병원 1개소, 요양병원 1개소, 치과의원 12개소, 한의원 13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37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아동복지시설 1개소, 노인복지시설 12개소, 장애인복지시설 4개소, 여성복지시설 2개소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충청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