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부선

다른 표기 언어 Gyeongbu Line , 京釜線
요약 테이블
설립 1905년 개통
유형 철도
국가 대한민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길이 441.7㎞

요약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간선 철도 노선. 총 길이는 441.7km이며, 경기도 오산시와 평택시, 충청남도 천안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경상북도 김천시, 대구광역시, 경상남도 밀양시, 부산광역시 등 주요 대도시들을 경유한다. 이밖에 전국 곳곳에서 지선 철도 노선과 연결된다. 고속철도를 운행하는 경부고속선이 2004년 별도로 개통되었다.

개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간선 철도각주1) 노선. 국내 철도 노선들 중 여객 수송량과 운행 횟수가 가장 많고, 곳곳의 철도 지선들과 연결해주어 국토 공간의 시간거리를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서울특별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부산광역시 등 전국 주요 도시를 비롯하여, 수도권 전철을 비롯한 경인선·경원선·용산선·안산선·장항선·충북선·호남선 등 전국 철도 노선들과도 연결된다. 2004년 고속열차를 운행하는 경부고속선이 개통되어 별도로 여객 중심의 영업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철도

한국의 철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및 변천

경부선은 일제강점기 일본이 대륙침략정책을 수행하려는 목적으로 최초 계획되었다. 일본 자본으로 설립된 경부철도주식회사가 1901년 8월 20일 서울 영등포와 9월 21일 부산 초량에서 각각 공사를 시작해 1904년 12월 27일 완공했다. 1905년(광무 9) 1월 1일 개통했는데, 침략정책을 수행하려는 목적으로 부설했기 때문에 공사 진행시 우리나라 관민의 저항과 반대가 심했다. 그밖에도 용지매수분쟁, 결빙과 홍수, 화폐의 차이 등 많은 어려움에 부딪혀 1902년말까지 서울 쪽에서는 51.5㎞, 부산 쪽에서는 53.1㎞만 완성되었다. 그러나 러·일전쟁이 임박하자 일본은 군대를 신속하게 이동하기 위해 공사를 강행했다.

개통 이후 경부선과 일본의 철도가 부관연락선(釜關連絡船)을 매개로 연결되었으며, 1906년 경의선의 개통으로 1908년부터 부산~신의주 간 직통 급행열차인 융희호(隆熙號)가 운행되기 시작했다. 1931년 일본이 만주를 본격적으로 침략하면서 수송량이 급속히 늘어나자 1936년부터는 부분적으로 복선공사를 시작해 약 8년 동안에 거의 모든 노선을 복선화했다. 해방 이후부터 6·25전쟁 기간 동안 이민자가 귀국하거나 전쟁으로 피난갈 때 경부선은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또 1960~70년대 경제개발시대에 농촌 인구가 서울로 몰려들 때도 주로 경부선을 이용했다. 이렇듯 경부선은 현대 한국 사회의 인구 이동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 1974년에는 서울~수원 간을 전철화했으며, 1981년에는 영등포~수원 간이 복복선화, 1991년에는 영등포~구로 간이 3복선화되었다. 1994년에는 열차가 전면 개편되어 경부선의 일부 구간이 비둘기호로 개편되었고, 부산진~대전 구간은 폐지되었다. 1996년에는 서울~영등포 간이 3복선화되었다. 1999년에는 경부선 서울~부산 구간이 통일호 장거리 열차가 무궁화호로 승격되었다.

2000년대에는 광역 전철 시대를 열었으며, 일반철도인 기존 경부선과 별도로 경부고속선 건설이 시작되어 2004년부터 경부고속선을 통해 KTX가 운행되기 시작했으며, 또한 전 구간에 걸쳐 복복선화와 전철화가 꾸준히 진행되어 2006년 전 구간이 전철화 되었다. 2010년 경부고속선 2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노선도 일부 개편되었다. 2014년에는 ITX-새마을 운행을 개시했다. 2016년 12월 수서~평택 고속선로를 경유해 경부선 및 호남선과 연결되는 수서발 고속철 SRT가 개통되면서, 서울 동부와 경기 남동부 지역의 고속철도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현황

총 길이는 441.7㎞이며, 구간 내 총 87개의 역이 개설되어 있으며, 이 중 보통역은 62개, 무배치간이역각주2) 은 20개, 조차장각주3) 1개, 신호장각주4) 3개, 신호소각주5) 1개가 있다. 서울에서 수도권 전철 1·4·5·7·9호선, 경의·중앙선과 연결되며, 경원선·경의선·경인선·용산선 등 수도권 주요 지선들과 연결된다. 이밖에 평택에서 수서평택고속선과, 세종특별자치시에서 오송선·충북선과, 대전광역시에서 호남선과, 대구광역시에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및 대구선과,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도시철도 1·2·3호선과 가야선·동해선·우암선과 연결된다.

철도의 부설 목적은 비록 일본의 침략수탈정책을 뒷받침하는 수단이었지만, 지금은 국토의 대동맥으로서 남한을 남북으로 관통하고 곳곳의 대도시 지역을 지선(支線)으로 연결해 시간상 국토 공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켰다. 경부고속선을 통해서는 KTX, SRT가 운행하며 경부선을 통해서 ITX-새마을, 무궁화호, 수도권전절 1호선 등이 운행되고 있다. → 철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교통

교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KTX 경부선 노선도


[Daum백과] 경부선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