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덴노

다른 표기 언어 tenno , 天皇

요약 일본 국가원수의 칭호.

덴노(天皇)

ⓒ William Ng/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그의 치세 연호와 함께 사후에 부여된다. 이 명칭은 나라 시대[奈良時代:710~784]초에 처음 사용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중국의 천황에서 따온 것으로서 종전의 미카도[御門]를 대신한 칭호였다.

일본의 전설에 따르면 일본 왕실은 BC 660년 태양의 여신 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의 직계 자손인 전설적인 덴노 진무[神武]에 의해 창시되었다. 3세기를 전후해 왕실 가문은 경쟁자인 부족장들을 무찌르고 일본 중앙과 서부지역에서 종주권을 확보했다.

궁중의 음모에 따라 덴노가 개별적으로 제거되고 살해되기도 했지만, 왕실 제도는 2,000년 동안이나 지속되었다. 그러나 12~19세기에는 귀족과 무사 가문들이 사실상 덴노의 권력을 모두 장악했다(→ 바쿠후). 1868년 메이지[明治] 유신의 지도자들은 왕실의 직접적인 통치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덴노를 민족 통일의 상징으로 내세워 중앙집권적인 민족국가를 건설했다. 비록 덴노에게 실질적인 정치상의 책임이 거의 주어지지 않았지만 덴노에 대한 충성은 신성한 의무이자 애국적인 책무로 인식되었다.

일본 덴노는 신도와 신적 가문의 최고 사제로서 신성불가침의 영기를 이어받았다고 한다.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하면서 국가 신도는 해체되고 이듬해 정월 초하루 덴노는 이른바 인간선언 조서에서 스스로의 신격을 부정했다. 일본의 헌법은 덴노를 국가 및 국민 통합의 상징으로 규정했다. 왕위의 세습과 덴노가 행하는 국사 행위를 정하고, 덴노는 정치상의 권한을 갖지 않는 의례적인 존재가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본

일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덴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