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제주마

다른 표기 언어 pony , 濟州馬 동의어 천연기념물 제347호, 삼척마, 三尺馬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포유강 > 말목 > 말과
원산지 아시아 (대한민국)
크기 약 1.15m ~ 1.22m
학명 E.p caballus
식성 초식
임신기간 약 335일
멸종위기등급 높은위기

요약 제주도에 서식하고 있는 조랑말의 총칭. 온순하며 체격에 비해 능력이 우수하여 보통 하루 32㎞씩 22일간 연일 행군이 가능할 정도로 강인한 체질과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 역사적 기록을 보면 제주마는 제주에 본래 있던 향마(鄕馬)인 소형마에 중형 이상의 크기를 갖는 몽골말 또는 아라비아말 계통의 혈통이 유입되어 제주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여 번식한 가축으로 추정된다. 1986년 천연기념물 지정 이후 2000년 초 혈통등록 사업이 진행되어 보존 관리되고 있다.

제주마(천연기념물 제347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개요

제주도에 자생하는 재래종 조랑말. 학명은 ‘E.p caballus’이다. 과하마(果下馬)·토마(土馬)·삼척마(三尺馬)라고도 한다. 우리 민족과 더불어 생존해온 재래 가축이며 상고시대, 부여 및 고구려시대부터 사육되어 왔다.

형태와 생태

다갈색을 띠는 이 말의 크기는 매우 작은데, 암말의 경우 어깨높이 113cm, 몸길이 122cm이며 체폭이 작다. 머리는 영리하고 몸 동작은 경쾌하다. 생김새가 몽골말과 비슷하다. 생후 약 14개월이 되면 초기 발정을 하고 임신기간은 약 335일이다. 짝짓기는 이른 봄부터 여름철로 3월에서 7월경에 이루어지며, 다음 해 봄과 여름에 망아지를 낳는다. 망아지를 낳은 어미 말은 보통 9~10개월에 걸쳐 약 5~6개월간 포유한다. 암말은 대부분 4세 때 처음 망아지를 낳기 시작하고 평균 20세까지 분만한다. 수말은 일반적으로 5세~15세까지 번식한다. 태어난 망아지는 일반적으로 5세가 되면 성장 및 발육이 완료된다.

현황

제주마는 1960년대를 기점으로 말의 경제적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사육두수가 감소되어 왔으나 멸종 방지 및 영구적 보존을 위해 1986년에 천연기념물 제347호로 지정되었다. 보존과 증식을 위한 이런 노력으로 2018년 말 기준 제주도에는 약 5,200여 두의 제주마가 보호·증식되고 있다. 제주마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제주마의 번식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번식현상 등의 체계적인 연구, 제주마에 대한 혈통분류 및 유지, 선발과 교배를 통한 제주마의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 등이 절실히 요구된다.

제주마(천연기념물 제347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제주마

말과

추천항목
  • 벨지언 호스|말 포유강 말과에 속하는 동물. 예로부터 가축으로 이용되었으며,.. 출처 다음백과
  • 조랑말 조랑말 키가 142cm 미만인 작은 말 품종. 세계 여러 지역을 원.. 출처 다음백과
  • 노새 노새 암말과 수탕나귀 사이의 잡종.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 출처 다음백과
  • 당나귀 당나귀 말과에 속하는 길들여진 야생당나귀(들당나귀). 아프리카들당나.. 출처 다음백과
  • 얼룩말 얼룩말 말과에 속하며 몸 표면에 줄무늬가 있는 포유류의 총칭. 아프.. 출처 다음백과


[Daum백과] 제주마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