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전주-익산-군산공업지대

다른 표기 언어 全州益山群山工業 地帶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공업발전과 도시화에 따라 형성된 전주시·익산시·군산시를 연결하는 하나의 공업지대이자 연합도시권(連合都市圈).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익산시·군산시를 연결하는 공업지역. 1995년을 기준으로 전주·익산·군산의 3개 도시 인구는 전북특별자치도 전체 인구 200만 5,641명의 58.5%를 차지했으며, 제조업체수는 전주 426개소, 익산 643개소, 군산 328개소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체 제조업체 2,246개소의 62.2%, 제조업 종업원수는 전주 2만 193명, 익산 2만 3,685명, 군산 1만 5,429명으로 전북특별자치도 전체 제조업 종업원 7만 8,554명의 75.5%를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주-익산-군산을 잇는 축은 전북특별자치도 인구와 산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주요개발축을 형성하고 있다. 본래 이 지역은 경제개발계획 초기단계에서 공업화정책의 혜택을 크게 보지 못한 지역으로서 지역산업이 낙후되어 있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서해안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군장신항·군장광역산업기지·전주과학산업연구단지 등 대규모 개발사업들이 이 지역에서 추진됨에 따라 동남해안공업지대와 함께 명실공히 국가적인 공업지대로서의 면모를 갖추어나가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중국과의 교류가 증대됨에 따라 군장신항이 중국진출의 전진기지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 발전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산 임해공업단지

전라북도 군산시 임해공업단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수도권이나 동남해안지역의 경우 용지공급이 한계에 이르고 있지만 이 지역은 타지역에 비해 용지가격이 저렴하며, 특히 금강 하구지역의 대규모 간척매립사업을 통해 저렴한 가격의 공장용지를 확보할 수 있는 것도 주요잠재력 중 하나이다. 최근 들어 공장의 신설·증설을 원하는 기업들이 점차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전주-익산-군산이 공업 벨트로 발전하여 하나의 연합도시권을 형성해나감에 따라 3개 도시간의 기능분담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주공업단지(전주공단)

전라북도 전주시 내 공업단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3개 도시의 입지여건을 감안할 때 전주는 정치·행정·문화·교육의 중심지이자 내륙공업과 첨단공업의 중심지로, 익산은 유통·금융·내륙공업의 중심지로, 그리고 군산은 해외교역·유통·임해공업 중심지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업개발 측면으로 볼 때 군산임해공단에는 자동차·기계·종이·제지·1차금속 등의 임해성 업종을, 익산공단과 전주공단에는 조립금속·섬유·정밀화학 등의 내륙형 업종을, 그리고 전주과학산업연구단지에는 정밀전자·신소재 등 첨단산업을 유치하여 상호 긴밀한 연계하에 발전시켜나갈 수 있도록 하며, 3개 도시간에 사람과 물자의 이동량이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익산공업단지(익산공단)

전라북도 익산시 내 공업단지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북도

전라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전주-익산-군산공업지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