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월경이 멈추는 현상. 여성의 생식기능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45~55세의 여성에게 주로 나타난다. 피부가 붉어지거나, 신경과민증·두통·어지러움증·체중 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최근에는 '폐'라는 글자의 부정적인 어감으로 인해 월경을 완성한다는 의미에서 '완경'이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월경이 중단되는 현상. 여성의 생식기능이 없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흔히 사용하는 갱년기라는 말은 육체적·정신적·성적 기능저하를 가져오는 시기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실제로 반드시 이러한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폐경은 45~55세경에 나타나며 유전·영양상태·건강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 노화). 여성의 약 8%가 40세 이전에 월경이 끝나는 조기폐경이 나타나며 난소를 외과적으로 절제하거나 X선 및 라듐을 투여해 파괴시켰을 때 인공폐경이 유도될 수 있다.
폐경기의 특징은 피부가 붉어지는 것인데 가슴 위쪽에서부터 시작해서 목·얼굴로 번져 때로는 몸전체에 나타나기도 한다(→ 전신열감). 이러한 현상은 주로 밤에 나타나며 한기를 수반해서 수면을 방해하기도 한다.
신경과민증·두통·어지러움증도 폐경기의 여성들에게서 나타나는데 이런 것은 폐경에 의한 변화라기보다는 나이를 먹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과 변화된 생활양식 때문이다. 많은 여성들이 폐경과 더불어 체중 증가를 호소하는데 이것은 주로 갑상선 기능의 저하, 운동 부족, 음식섭취의 증가 때문이다. 최근에는 '폐'라는 글자의 부정적인 어감으로 인해, 월경을 완성한다는 의미를 담은 '완경'이라는 표현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식/비뇨기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