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성의 생식계

다른 표기 언어

음경

남성의 성교기관인 음경은 몸 밖에 있는 부분과 몸 속에 있는 부분으로 나뉘며 각각 음경몸통과 음경뿌리라고 한다.

음경은 혈액이 들어오면 팽창되어 발기되는 해면성조직으로 중간에 정액과 소변의 통로인 요도가 있다. 음경몸통은 평상시에는 원통형이나 발기상태에서 단면을 보면 3각형을 이루는데 이것은 발기성 조직인 음경해면체 2개가 좌우 옆으로 나란히 놓여 있고 그 밑에 요도가 들어 있는 1개의 요도해면체가 음경해면체 사이에 있기 때문이다.

음경해면체보다 더 길고 가느다란 요도해면체는 끝부분이 원추형의 부드러운 구조물인 음경귀두를 형성한다. 요도는 음경귀두를 관통하고 있으며 그 끝은 외부로 통하고 음경꺼풀이 모자처럼 씌워져 있다. 음경뿌리는 2개의 음경다리와 1개의 음경망울로 구성되며, 이들은 각각 치골궁의 가장자리와 회음막에 부착되어 있다. 음경다리는 좌골해면체근육에 의해 덮여 있는 긴 구조물로 음경해면체와 이어져 있다. 음경다리 사이에 위치한 음경망울은 구해면체근육으로 덮여 있고 요도해면체와 연결된다.

음경은 속장골동맥의 지류인 속음부동맥으로부터 많은 혈액을 공급받는데, 발기현상은 정맥이 압박을 받아 혈액이 유출되지 않고 해면체 공간을 채움으로써 일어난다. 음경에는 감각신경과 자율신경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자율신경 중에서도 교감신경은 혈관수축을, 부교감신경은 혈관확장을 일으킨다. 교감신경은 사정을 하게 하고 배뇨욕구를 억제하며 정액이 방광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음경의 구조

ⓒ 아흔~kowiki/wikipedia | CC BY-SA 3.0

음낭

음낭은 치골섬유연골결합의 아래, 대퇴 위의 정면에 위치한 피부주머니로 고환·정삭의 아랫부분이 들어 있으며 음낭중격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갈색을 띤 음낭의 피부는 얇고 주름이 잡혀 있으며 지방조직이 없다. 표면에 약간의 털과 기름샘이 있고 피부 아래에는 음낭의 모양을 변화시키는 불수의근인 음낭근이 있다. 음낭이 차가운 곳에 노출되면 음낭근이 수축하여 짧아지면서 주름진 형태가 되고 따뜻한 곳에서는 부드러워지면서 주름이 퍼지게 된다. 음낭근의 밑에는 정삭막과 연결되는 근막층이 있으며 음낭에서 고환을 받쳐주는 정삭은 정관, 고환의 혈관과 림프관, 고환올림근으로 흐르는 동맥, 정관으로 가는 동맥과 신경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음낭은 대퇴동맥의 바깥음부동맥과 속음부동맥의 음낭가지에 의해 혈액을 공급받으며 림프는 샅에 있는 림프절로 이동한다.

고환

복부의 뒤쪽 벽에서 생성되어 임신 7개월째 음낭으로 하강하는 2개의 고환은 정삭에 의해 매달려 있으며 길이는 4~5㎝이고 섬유성 막인 백색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백색막은 고환 안쪽으로 퍼져서 고환을 약 250개의 고환소엽으로 분할한다. 각 소엽에는 정자를 생성하는 1개 이상의 곱슬정세관이 있으며 이것을 다 펴면 70㎝ 정도가 된다. 약 60일이 걸리는 정자생성과정은 정세관을 싸고 있는 세포층의 정모세포로부터 시작되어 여러 단계를 거친다.

정세관에서 배출된 정자는 남성생식기관에서 성숙과정을 거친 후에 운동성을 띠게 되는데, 이러한 성숙과정은 사정 후에도 여성의 생식기관 내에서 계속된다. 정자는 길고 가느다랗게 생겼으며 머리·중간부분·꼬리로 구분되고 머리에는 핵이 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고환의 간질세포에서 생성되며, 특히 사춘기에는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생식선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생성이 급격히 증가한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부속생식샘인 전립선과 정낭심을 자극하고 2차성징의 발달을 촉진하기도 한다.

정자이동로의 구조물들

정자의 이동로는 부고환·정관·사정관으로 이어지는데 이것은 고환에서 전립선의 안쪽에 위치한 요도까지 연결되는 것이다.

정자는 고환에서 나온 후 약 20개의 고환수출관을 따라 부고환의 머리로 들어간다. 결합조직에 의해 이어져 있는 부고환은 매우 곱슬한 관으로, 펼치면 6m정도 된다. 부고환은 아래 꼬리의 끝부분에서 팽창되고 두꺼워지면서 정관과 연결된다. 고환수출관 세포 일부에는 섬모가 있어 정자가 부고환으로 이동하도록 도와준다.

부고환관의 근육층은 두꺼우며 내벽이 크고 운동성이 없는 섬모덤불로 이루어졌다. 정관에는 세로근육층이 발달되어 있어 연동운동에 의해 정자가 정관팽대부로 이동되며 내부의 점막은 대부분 섬모가 없는 원주세포로 되어 있다. 정관팽대부는 얇은 벽으로 되어 있으며 정자저장소의 역할을 한다.

부속기관들

전립선·정낭샘·요도망울샘은 남성의 부속생식기관으로 정액의 액성물질을 분비하는 곳이다.

전립선은 거꾸로 된 피라미드 모양으로 방광목과 닿아 있고 요도가 지나간다. 2개의 사정관은 뒤쪽 면의 윗부분에서 전립선으로 들어간다. 전립선은 4×2×3㎝ 크기이며 샘조직으로 되어 있다. 이것은 3개의 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요도의 뒤에서 서로 이어지는 양쪽의 두 엽은 샘조직으로 이루어져 있고 가운데 있는 작은 엽에는 샘조직이 없다. 전립선은 요도를 중심으로 이상적으로 중요한 동심원대로 분류되는데 요도에서 가장 가까운 짧은 점액분비샘은 쉽게 비대해진다.

그 바깥쪽에는 전막하층 동심원이 있고 더 바깥쪽으로는 샘조직으로 된 길다란 샘들이 있는데 종양은 거의 여기에서 발생한다. 전립선액은 우유빛이며 약산성이다. 정낭샘은 각각 길이가 5㎝인 2개의 구조물이며 직장과 방광바닥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꼬여 있던 정낭관은 아래쪽 끝에서 곧은 관이 되면서 정관과 결합하여 사정관을 형성한다. 정낭샘의 분비물은 사정을 할 때 근육의 수축에 의해 배설되는 끈적끈적한 노란색의 액체로 과당을 포함하고 있으며 약알칼리성이다.

요도망울샘은 전립선과 음경 사이에서 요도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샘은 성적 흥분시 분비물을 배출한다. 양 측면에 위치하고 있는 2개의 사정관은 정낭샘관이 전립선 바닥에 있는 정관의 끝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길이는 각각 약 2㎝이며 전립선의 외측엽과 중간엽 사이를 지나 전립선요도의 바닥 부분까지 이어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남성의 생식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