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의성군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의성향교·비안향교·덕양서원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 의성초등학교와 비안초등학교가 각각 1906, 1908년에 개교했다. 2017년 기준 유치원 15개소, 초등학교 16개소, 중학교 10개소, 고등학교 7개교가 있다. 단촌면과 안사면에는 중학교가 없고, 의성읍·봉양면·안계면·다인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의 중학교는 전교생이 200명에 미치지 못하는 소규모 학교들이다.
한편 의성읍·금성면·안계면에는 인문계와 실업계 고등학교가, 점곡면·비안면에는 인문계 고등학교, 또 봉양면·다인면에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있다. 전체 고등학교 학생 가운데 47%가 실업계 학생으로 실업계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인근의 안동시나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로 진학하려는 학생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학 이상의 교육기능은 거의 전적으로 이들 도시에 의존하고 있다.
1984년에 개원한 의성문화원은 의성문화제를 비롯한 각종 문화사업을 주관하고 있다. 의성문화제는 매년 10월경에 개최되는 의성군민의 향토문화행사로 고유민속을 발굴·보급하고 있다. 그밖의 문화시설로 의성공공도서관·군민회관·종합운동장 등이 있다.
의성지방은 조선시대 학문의 중심지였던 안동과 함께 학문을 숭상하는 기운이 매우 높았던 곳이다. 따라서 이 지방의 민속놀이에도 이러한 지역적 특성이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의성 고유의 민속놀이인 가마싸움(가매싸움 또는 가마놀이)은 옛날 서당 학동들이 음력 8월 추석에 바퀴 달린 가마와 기치(깃발)를 만들어 편을 갈라 힘과 지혜를 겨루던 전통 민속놀이로 지금도 매년 의성문화제 때 시연되고 있다. 기와밟기(꽃게삼)는 정월 대보름에 행해지는 부녀자들의 놀이로, 고려 공민왕 때 이 지방으로 피난온 노국공주를 위한 행사로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은 병원 2개소, 의원 19개소, 특수병원 3개소, 요양병원 5개소, 치과병원 9개소, 한의원 10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39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480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2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17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11개소, 아동복지시설 1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2개소, 어린이집 14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의성군의 교육·문화·의료·복지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