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월경전증후군

다른 표기 언어 premenstrual syndrome , 月經前症候群

요약 월경전증후군은 본래 주기적인 특징을 가지며, 월경이 시작되기 7~14일 전에 시작하여 월경이 시작된 지 24시간 안에 끝난다. 1950년대 영국의 의사 캐터리나 돌튼에 의해 명명되었다.
모든 여성의 40%가 월경전증후군을 겪고 있으며, 그 증상과 정도는 차이가 아주 많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두통·복통·요통·복부팽만과 변비나 설사 기타 몇 가지 관련 증상이 있다. 정서적인 증상으로는 과민성, 무기력, 정서의 심한 동요 등으로부터 적개심·혼란·공격성·우울증 등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 원인으로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는 이론은 호르몬의 변화와 영양결핍, 스트레스 등에 초점을 둔다. 주요치료방법으로는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스트레스를 피하며, 영양요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래 주기적인 특징을 가지며 월경이 시작되기 7~14일 전에 시작하여 월경이 시작된 지 24시간 안에 끝난다.

월경전증후군에 대한 의학적인 연구는 1930년대에 시작되었으며, 1950년대 영국의 의사 캐터리나 돌튼에 의해 명명되었다. 1985년에 케냐에서 연구하던 생물학자들은 월경이 시작되기 전의 암컷 비비들에게서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월경이 시작되기 전인 암컷 비비는 무리에서 떨어져나와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 위에서 무엇을 먹으면서 보내는 것이었다.

모든 여성의 40%가 월경전증후군을 겪고 있으며, 그 증상과 정도는 차이가 아주 많다. 이중 10%는 상대적으로 증상이 심각하다. 신체적 증상으로는 두통·복통·요통·복부팽만과 변비나 설사 기타 몇 가지 관련 증상이 있다. 정서적인 증상으로는 과민성, 무기력, 정서의 심한 동요 등으로부터 적개심·혼란·공격성·우울증 등까지도 나타날 수 있다.

월경전증후군의 원인은 주요한 연구대상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 널리 인정되고 있는 이론은 호르몬의 변화(혈류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급격히 변화함)와 영양결핍(특히 비타민, 그중에서도 뇌에서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비타민 B의 결핍)·스트레스(증상의 심한 정도에 관련된 요인임) 등에 초점을 둔다.

이에 관하여 연구하는 많은 사람들은 뇌에서의 화학적 전달물질 변화가 중요한 원인이 아닌가 생각한다(→ 성호르몬). 증상이 나타난 날짜와 어떤 증상이 나타났는지를 알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주요 치료방법은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피하며, 영양요법을 실시하는 것이다.

나트륨 섭취를 제한하고, 크산틴류가 포함된 커피·홍차·초콜릿·콜라 등을 피하고 단백질과 복합탄수화물이 풍부한 음식을 먹을 경우 신체적 불쾌감을 크게 줄일 수도 있다. 좀더 심한 경우에는 약물요법(진통제·이뇨제·항우울제·진정제 등)과 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정신치료가 필요하다.

월경전증후군 - 복통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월경전증후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