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형이상학 체계로서의 원자론
무엇보다도 먼저 원자론은 형이상학 체계이다. 그리고 형이상학으로서의 원자론은 합리주의적·기계론적·실재론적이다.
원자론은 관찰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서슴없이 원자의 존재를 가정할 정도로 이성을 신뢰한다는 점에서 합리주의적이다. 또 원자론자들은 합리적 추론을 통해 원자의 근본 성질을 연역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이 성질들을 기계론적 용어로서 서술하는 것은 단지 편의 때문이 아니라 실재의 적절한 표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합리주의적·기계론적 형이상학은 단지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뿐 아니라 초기의 과학적 원자론의 특징이기도 하다.
그러나 불변적 원자라는 기계론적 견해의 최대 약점은 원자를 넘어서 실험이 진행되는 것을 막는다는 데 있다. 그리고 사실상 이러한 약점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을 거부한 이유 가운데 하나이다. 데모크리토스는 변화하지 않는 원자를 가정했다는 점에서 비판받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원자론의 실재론적 측면이 아니라 기계론적 형이상학을 비판한다.
한편 이 실재론적 측면에 대한 공격은 18세기의 위대한 인식론자 이마누엘 칸트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세기 과학자들은 실재론적 주장에 대한 칸트의 비판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이미 나름대로 작업하기 시작했고 더이상 철학의 문제들에 신경 쓰지 않았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 과학은 안으로 위기를 맞게 되었다.
과학자들은 파동설과 입자설이라는 2가지 고전적 모델의 상관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러한 위기에서 과학자들은 전제를 재검토해야 했다.
고대 그리스 원자론과 현대 과학적 원자론
그리스 원자론과 현대 원자론을 비교할 때 명심해야 할 점은 그리스 사상에서는 철학과 과학이 통일을 이루고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스 원자론은 자연의 변화와 다수성 문제를 해결하려는 욕구와 특정한 현상에 대해 과학적 설명을 제공하려는 욕구를 모두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고대 그리스 원자론과 현대 과학적 원자론을 단지 과학적 내용에만 기초해서 비교하는 것은 부당하다. 그것은 그리스 원자론의 주된 가치를 과소평가하게 될 것이며 과학적 원자론의 철학적 부적합성을 시사할 수도 있다.
한편 과학적 원자론의 발전 덕분에 엄격한 원자론과 다른 형태의 원자론을 분열시킨 여러 철학 문제가 해명되었다. 예를 들면 전체와 부분의 관계, 궁극적 입자의 상대적 성격, 인식론의 근본문제 등에 관한 통찰이 깊어졌다.
평가
원자론의 성공은 복합체를 고정된 입자나 단위의 덩어리로서 고찰하는 원자론적 사고틀의 가치를 보여준다. 그러나 원자론의 역사는 이러한 관념이 본래부터 갖는 절대주의의 위험성 또한 보여준다. 역사는 이러한 절대주의를 교정해왔다. 즉 단위 요소(예를 들어 원자)들은 해당 복합체와 연관해서만 궁극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야 하며, 또 오직 '병렬'만이 요소들이 한덩어리로 결합하는 유일한 방식은 아니라는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서양철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원자론이 제기한 근본문제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