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2, 보물 7, 사적 및 몇승 6, 천연기념물 4, 중요민속자료 2),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34, 기념물 46, 무형문화재 5, 민속문화재 1), 문화재자료 30점, 등록문화재 6점이 있다(2017). 신라시대부터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로 발달해 전쟁과 관련된 문화재가 많다.
선사시대의 유물·유적이 시 전역에서 발견되었는데, 서생면 신암리에는 신석기시대의 각종 토기와 석기 등이 출토된 유적이 남아 있으며, 농소동·온산읍·언양읍 등 여러 지역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특히 언양읍 서부리의 언양지석묘총(彦陽支石墓塚:경상남도 기념물 제25호) 등 고인돌이 많고, 두동면의 울주천전리각석(蔚州川前里刻石:국보 제147호)과 언양읍 대곡리의 반구대암각화(盤龜臺巖刻畵)는 큰 바위에 각종 그림과 글이 새겨져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그밖에 장현동·화봉동·신정동 등 시내 곳곳에서 출토된 빗살무늬토기·무늬없는토기·석기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상북면 덕현리 석남사부도(石南寺浮屠:보물 제369호)·석남사3층석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호)·석남사수조(石南寺水槽: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57호)를 비롯하여 태화동에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율사가 창건했다는 태화사지가 있으며, 부근에서 발견된 태화사지12지상부도(太和寺址十二支像浮屠:보물 제441호)는 현재 학성공원 내에 옮겨져 있다.
또한 간월사지(澗月寺址:경상남도 기념물 제54호)·간월사지석조여래좌상(보물 제370호)·망해사지석조부도(望海寺址石造浮屠:보물 제173호)·청송사지3층석탑(靑松寺址三層石塔:보물 제382호)·청송사지부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호) 등이 있으며 삼남읍의 상천리 국장생석표(國長生石標: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6호)와 강동동의 어물리마애여래좌상(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호), 웅촌면 고련리 운흥사지부도(雲興寺址浮屠: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호)가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교동에 울산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9호)가 있고 삼남면 교동리에 언양향교(彦陽鄕校: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6호)가 있으며, 서원으로는 반고서원(盤睾書院)·학호서원(鶴湖書院)·원강서원(圓岡書院) 등이 있다.
국방과 관련된 문화재로는 학산동에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이었던 울산병영성(蔚山兵營城:사적 제320호)의 성벽 일부가 남아 있으며, 언양읍성(彦陽邑城:사적 제153호)·관문성(關門城:사적 제48호)·서생포성(西生浦城:사적 제54호) 등이 있다. 1597년 일본군이 쌓았다는 울산학성(蔚山鶴城:사적 제9호)은 지금 학성공원으로 조성되어 있다.
그밖에도 성암동에 개운포성지(開雲浦城址:경상남도 기념물 제72호)가 있다. 건축물로는 울산동헌과 내아(蔚山東軒─內衙: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2호), 신정동에 이휴정(二休亭: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1호)이 있으며, 내부에 태화루의 현판과 울산이휴정소장출토복식(중요민속자료 제37호)이 소장되어 있다. 또한 천황산요지군(天皇山窯址群:사적 제129호)·만정헌(晩亭軒: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8호)·울주석천리이씨고가(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9호) 등도 있다. 그밖에 황성동에는 처용의 전설이 얽힌 처용암(處容巖:경상남도 기념물 제50호)이 있으며, 교동의 동쪽 바다는 울산극경(쇠고래) 회유해면(천연기념물 제126호)으로 이름 나 있다.
울산광역시는 한국의 대표적인 공업도시 중 하나로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찾아드는 산업관광지이자 옛 신라의 굴아화촌 땅으로 유서 깊은 고적과 산과 바다가 어우러진 빼어난 자연경관으로 연중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주요관광지는 울산만을 따라 펼쳐져 있는 대단위 중화학공업단지와 석남사·언양읍성·관문성·파래소폭포·춘도공원·태화강변의 선바위·학성공원·처용암·용굴·일산해수욕장, 영남의 알프스라 불리는 배냇골[梨川谷] 등이 있다. 특히 장생포는 한국 고래잡이의 본거지로 포경철에 고래의 해부가 볼 만했으나 현재는 포경업이 금지되어 있다. 항공·도로·철도 등 교통이 편리하고 숙박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울산광역시 유물·유적·관광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