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울산광역시 교육·문화·의료·복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울산광역시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울산광역시의 전통교육기관으로는 울산향교가 있다.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1907년 보통학교령에 의해 개교한 울산초등학교이다. 1913년에는 언양초등학교가 개교했으며, 1920년대에 들어서는 1면 1교 정책에 따라 각 면마다 공립보통학교가 세워졌다. 1937년 울산공립농업학교가 설립되었고, 1969년 울산공과대학이 개교, 그뒤 지금의 울산대학교가 되었다. 2018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197개소, 초등학교 120개교, 중학교 63개교, 고등학교 57개교와 울산과학대학원·춘해보건대학·한국폴리텍대학(울산캠퍼스) 등이 있다.

울산대학교

ⓒ Hansel Mar/wikipedia | CC BY-SA 3.0

1964년에 설립된 울산문화원에서는 향토문화재를 조사·정리해 책을 편찬하는 등 향토문화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행사로는 1967년부터 실시되던 울산공업축제가 1991년부터 처용문화제로 명칭이 바뀌어 열리고 있다. 울산시와 문화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예총) 울산지부 및 각종 단체들의 주관하에 매년 4월에 열리는 이 행사에서는 처용제전·처용가장행렬·처용무·다향제·쇠부리놀이·처용놀이·농악시연을 비롯해 한글백일장·울산국악제·처용미술제·건강체조경연대회 등 다양한 행사들이 펼쳐진다. 또한 1981년부터 매년 10~12월에 예총 울산지부 주최로 울산예술제가 열린다. 그밖에 1987년부터 매년 4월에 열리는 체육대회와 배꽃축제가 있다. 이 행사에서는 배꽃아가씨선발대회를 비롯해 농악놀이·씨름·윷놀이·그네뛰기 등과 축구·배구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문화시설로는 공공도서관 8개소, 공공체육시설 5개소, 공연장 11개소 등이 있다. 대표적인 민속놀이로는 마두희(馬頭戱)라 불리는 줄다리기와 지신밟기·달맞이·연날리기 등 세시놀이가 행해진다. 설화로는 〈헐수정과 무거동전설〉·〈처용암전설〉·〈병영성전설〉·〈치술령망부석전설〉·〈원효대사와 천성산전설〉·〈쌀바위전설〉 등이 있다. 민요는 공업도시로 변모하기 전까지 전통적인 농어촌이었기 때문에 노동요가 많으며, 〈담바귀타령〉·〈장타령〉·〈멸치후릿배노래〉·〈모심기노래〉·〈후리질노래〉·〈불매노래〉·〈돈타령〉 등이 구전되고 있다. 특히 〈불매노래〉는 풀무질을 하면서 부르는 것으로 3종류가 전해지고 있다.

2017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8개소, 병원 40개소, 의원 587개소, 요양병원 41개소, 치과병원 381개소, 한방병원 2개소, 한의원 278개소, 보건관련 의료기관 17개소 등이 있다. 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828개소, 노인주거복지시설 2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46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210개소, 여성복지시설 7개소, 아동복지시설 11개소, 장애인복지 생활시설 25개소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울산

울산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울산광역시 교육·문화·의료·복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