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영양군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2, 중요민속자료 1, 천연기념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7, 기념물 4, 민속자료 5), 문화재자료 28점,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

봉감모전5층석탑

봉감모전5층석탑(고려), 국보 제187호, 높이 11m, 경북 영양군 입안면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영양읍 감천리 고인돌을 비롯해 여러 개의 고분이 있으며, 산성으로는 청기면의 검산성(劍山城, 경상북도 기념물 제65호)이 있다.

불교문화재 중 석탑으로는 입암면의 봉감모전5층석탑(鳳甘模塼五層石塔, 국보 제187호)·신구리3층석탑, 영양읍 화천리의 화천동3층석탑(化川洞三層石塔, 보물 제609호), 현리의 현일동3층석탑(보물 제610호)·현이리모전5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호)·삼지리모전석탑 등이 있으며, 불상으로는 입암면의 연당리석불좌상(蓮塘里石佛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1호)과 일월면 도곡리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절터로는 주곡리사지(注谷里寺址)·신구리사지(新邱里寺址)·대천리사지(大川里寺址)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영양향교(英陽鄕校,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5호), 일월면의 명고서원·여남강당(汝南講堂,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석보면의 석천서당(石川書堂), 일월면의 월록서당(月麓書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등이 있다.

주요 건축문화재로는 영양읍의 월담헌 및 사월종택(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 청기면의 벽산생가(碧山生家), 입암면의 영양서석지(英陽瑞石池, 중요민속자료 제108호), 일월면의 주곡리옥천종택(注谷里玉川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2호), 영양읍의 학초정 및 정침(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4호), 연소정(蓮沼亭), 삼구정(三龜亭) 등이 있다.

그밖에 천연기념물로 이 지역에서 자생하는 영양의 측백수림(側栢樹林, 천연기념물 제114호)이 영양읍 감천리에 지정·보호되고 있다. 관광지로 개발된 곳은 거의 없으나 일월산반변천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 명승지가 있다. 일월산은 주봉인 일자봉의 일출이 유명하며, 반변천의 물줄기에는 세심암(洗心巖)·선유굴(仙遊窟)·송영당(送迎塘)·초선대(招仙臺) 등이 있어 기암절벽과 백사장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밖에 수비면에 수하계곡, 영양읍에 팔수곡폭포·감천폭포가 있으며, 삼지·남이포·입암 등의 낚시터와 입암면의 양항약수, 청기면의 나방약수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영양군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