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경상북도 북동부 |
---|---|
인구 | 15,642 (2024) |
면적 | 815.15㎢ |
행정구역 | 1개읍 5개면 114개리 |
사이트 | http://www.yyg.go.kr/ |
요약 경상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 동쪽으로 울진·영덕과 접하며 서로는 안동, 남쪽으로는 청송, 북쪽으로는 봉화와 맞닿은 한국의 전형적인 농촌이다. 높이 500m 이상의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북부의 산악지역에는 인구가 희박하다. 산림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불갑산의 황장목이 단단하기로 유명하다. 관광지로 개발된 곳은 없지만 일월산과 반변천 중심으로 세심암·선유굴·송영당·초선대 등의 명소가 있다. 면적 815.15㎢, 인구 15,642(2024).
대한민국 경상북도 북동부에 있는 군. '육지 속의 섬'으로 불릴 만큼 외진 고장으로, 고추와 잎담배의 생산이 활발하다. 영양읍·석보면·수비면·일월면·입암면·청기면 1개읍 5개면 74개리가 있다(법정리 기준, 행정리 기준 114개리). 군청소재지는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군청길 37이다. 면적 815.15㎢, 인구 15,642(2024).
연혁
본래 신라의 고은현이었는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유린군(영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 영양군 또는 영양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시대1682년에 영양현이 새로 설치되었다. 영양의 별호는 익양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하여 1895년에 안동부 영양군, 1896년에 경상북도 영양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로 영해군의 두입지인 석보면을 편입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영양면·입암면·청기면·일월면·수비면·석보면으로 통합되었다. 1979년에 영양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1994년 울진군 서면 왕피리 일부를 수비면 신암리에 편입했다. 2003년 청기면의 당동출장소의 명칭을 당리출장소로 변경했다.
인구
대중교통망이 낙후된 한국의 전형적인 농촌이다. 국내에서 울릉군을 제외한 국내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제일 인구가 적은 산악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1970년의 군 인구는 6만 8,206명으로 1960년에 비해 1만 1,579명이 증가해 20.4%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1973년 7만 791명의 최대인구수를 보인 이후로는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1980년 5만 2,733명, 1990년 3만 1,170명, 2000년 2만 735명으로 감소했고 2010년에는 1만 6,540명을 기록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만 5,642명으로 최대인구를 기록했던 1973년에 비해 74%가 감소했다. 행정구역별 인구분포를 살펴보면 영양읍(6,861명)이 군 전체인구의 42.7%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분포가 적은 지역은 청기면·수비면·일월면으로 주로 북부의 산악지역이다.
연혁
본래 신라의 고은현이었는데, 신라의 삼국통일 후 757년(경덕왕 16)에 유린군(영해)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초인 940년(태조 23) 영양군 또는 영양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018년(현종 9) 예주(영해)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조선시대 1677년(숙종 3)에 진보현에 속했다가 1682년에 영양현이 새로 설치되었다. 영양의 별호는 익양이었다. 지방제도 개정에 의하여 1895년에 안동부 영양군, 1896년에 경상북도 영양군이 되었다. 1906년 월경지 정리로 영해군의 두입지인 석보면을 편입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읍내면·동면(일부)이 영양면으로, 남면과 진보군의 북면이 입암면으로, 청초면과 청이면이 청기면으로, 북초면(일부)·북이면이 일월면으로, 북초면(일부)·수비면이 수비면으로, 석보면·동면(일부)이 석보면으로 통합되었다. 1979년에 영양면이 읍으로 승격했다.
자연환경
군의 남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높이 500m 이상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태이다. 군의 동부와 북부에는 태백산맥이 뻗어내려 금장산(849m)·백암산(1,004m)·명동산(812m)·일월산(1,219m)·울련산(939m) 등이, 중앙부와 서부에는 흥림산(767m)·작약봉·영등산(509m) 등이 솟아 있다.
하천으로는 일월산 북쪽에서 발원한 장군천이 장파천과 합류하고 반변천의 본류를 이루면서 남류한다. 또한 일월산 서부에서 발원한 동천은 남쪽으로 흘러 입암면 연당리에서 반변천에 유입한다. 그밖에 군의 북동부 지역에서 북동류하는 장수포천이 있다. 이들 하천은 산지 사이를 흐르고 하천 주위에는 좁은 곡저평야가 발달했다. 내륙고원지대이므로 기온의 일교차가 크고 일조시간이 다른 지방보다 짧다. 연평균기온 11.5℃ 내외, 1월평균기온 -2.4℃ 내외, 8월평균기온 26.5℃ 내외이며, 연평균강수량은 793.3㎜ 정도로 적다.
인구
대중교통망이 낙후된 한국의 전형적인 농촌이다. 국내에서 울릉군을 제외한 국내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제일 인구가 적은 산악지역으로 1970년대 이후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1970년의 군 인구는 6만 8,206명으로 1960년에 비해 1만 1,579명이 증가해 20.4%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1973년 7만 791명의 최대인구수를 보인 이후로는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1975~85년에는 2만 4,382명이 감소해 35.9%의 인구감소율을 나타냈으며 1985~95년에는 40.1%인 1만 7,428명이 감소하는 지속적인 높은 인구감소율을 보였다.
1995~2005년에도 22.9%, 2005~2015년에는 7.5%로 다소 낮아지는 인구감소율의 추이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1만 5,642명이다. 영양읍(6,861명)이 군 전체인구의 42.7%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분포가 적은 지역은 청기면·수비면·일월면으로 주로 북부의 산악지역이다.
산업과 교통
총 경지면적 75.51㎢ 가운데 논이 20.81㎢, 밭이 54.70㎢로 밭이 2.5배 이상 많으며, 경지율은 9.3%이다. 이에 반해 임야면적은 697.98㎢로 군 전체면적의 85.6%를 차지하고 있다. 영농조건이 불리하나 농가가 전체가구의 71.3%를 차지한다(2012).
고추와 잎담배가 대표적인 농산물로 고추는 영양읍·일월면 등을 중심으로 군내 각지에서 재배하며 그 품질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잎담배는 영양읍·입암면을 중심으로 많이 재배되고, 영양읍·석보면 등에서는 지형적인 특성을 이용한 배추 재배가 활발하다.
1990년대 이후로 인삼과 누에고치도 생산되고 있다. 풍부한 산림자원을 이용한 제재업(4개 공장)이 영양읍·입암면·청기면 등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는데, 특히 수비면 불갑산에서 자라는 황장목(黃腸木, 소나무의 일종)은 나무질이 단단하기로 유명하다.
그밖에 청기면 산운리와 일월면 가곡리에서 생산되는 숫돌과 일월산의 고사리·산나물, 청기면의 지황, 수비면의 양송이 등도 이 군의 특산물이다. 석보면·청기면·일월면 등의 산지 사면에서는 한우·염소·젖소 등의 사육과 양봉이 활발해 농가소득을 올리고 있다.
군내의 총 광구수는 12개소로 1개 비금속광구만이 가행중이다. 광업·제조업 3개 사업체에서 79명의 종업원이 일하고 있다(2012). 고추가공공장과 청자요업공장 등이 있다. 상업활동은 영양장·입암장 등 2개의 정기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고추가 많이 거래된다.
태백-포항을 잇는 국도가 군의 중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울진군·봉화군·영덕군으로 통하는 지방도가 군을 동서로 지난다. 도로총길이 357.38㎞, 도로포장률 72.24%이다(2012).
유물·유적·관광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2, 중요민속자료 1, 천연기념물 2),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7, 기념물 4, 민속자료 5), 문화재자료 28점, 등록문화재 1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적으로는 영양읍 감천리 고인돌을 비롯해 여러 개의 고분이 있으며, 산성으로는 청기면의 검산성(劍山城, 경상북도 기념물 제65호)이 있다.
불교문화재 중 석탑으로는 입암면의 봉감모전5층석탑(鳳甘模塼五層石塔, 국보 제187호)·신구리3층석탑, 영양읍 화천리의 화천동3층석탑(化川洞三層石塔, 보물 제609호), 현리의 현일동3층석탑(보물 제610호)·현이리모전5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호)·삼지리모전석탑 등이 있으며, 불상으로는 입암면의 연당리석불좌상(蓮塘里石佛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1호)과 일월면 도곡리석조여래좌상 등이 있다. 절터로는 주곡리사지(注谷里寺址)·신구리사지(新邱里寺址)·대천리사지(大川里寺址)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영양향교(英陽鄕校,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5호), 일월면의 명고서원·여남강당(汝南講堂,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76호), 석보면의 석천서당(石川書堂), 일월면의 월록서당(月麓書堂,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72호) 등이 있다.
주요 건축문화재로는 영양읍의 월담헌 및 사월종택(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52호), 청기면의 벽산생가(碧山生家), 입암면의 영양서석지(英陽瑞石池, 중요민속자료 제108호), 일월면의 주곡리옥천종택(注谷里玉川宗宅, 경상북도 민속자료 제42호), 영양읍의 학초정 및 정침(경상북도 민속자료 제64호), 연소정(蓮沼亭), 삼구정(三龜亭) 등이 있다.
그밖에 천연기념물로 이 지역에서 자생하는 영양의 측백수림(側栢樹林, 천연기념물 제114호)이 영양읍 감천리에 지정·보호되고 있다. 관광지로 개발된 곳은 거의 없으나 일월산과 반변천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 명승지가 있다. 일월산은 주봉인 일자봉의 일출이 유명하며, 반변천의 물줄기에는 세심암(洗心巖)·선유굴(仙遊窟)·송영당(送迎塘)·초선대(招仙臺) 등이 있어 기암절벽과 백사장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밖에 수비면에 수하계곡, 영양읍에 팔수곡폭포·감천폭포가 있으며, 삼지·남이포·입암 등의 낚시터와 입암면의 양항약수, 청기면의 나방약수 등이 알려져 있다.
교육·문화·의료·복지
전통 교육기관으로는 일월면의 영양향교를 비롯해 영산서원·운곡서원·여남서원·봉람서원·석천서당 등이 있었다. 근대 교육기관으로는 1908년에 개교한 영양사립영흥학교와 1921년에 설립한 석보공립보통학교 등이 있었다. 2017년 기준 교육기관으로는 유치원 8개소, 초등학교 6개소, 중학교 4개소, 고등학교 3개교가 있다.
1968년 영양읍 서부리에 개원한 영양문화원과 100석 규모의 영양공공도서관이 있으며, 문화행사로 1975년 이래 매년 10월에 거행되는 영양문화제에서는 탑돌이·백일장·영양원놀음 등의 행사가 열리며, 영양문화원에서는 해마다 영양고추아가씨선발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 고장의 민속놀이로는 원놀음·화전놀이 등이 있다. 구전되고 있는 설화로는 <베틀굴전설>·<석보면황씨전설>·<지씨마을이야기> 등이 있으며, 민요로는 <모찌기소리>·<시집살이노래>·<춘유가> 등이 있다.
2016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병원 1개소, 의원 1개소, 치과병원 3개소, 한의원 2개소, 보건소 관련 의료기관 14개소가 있다. 사회복지시설로는 노인여가복지시설 164개소, 노인의료복지시설 6개소, 재가노인복지시설 2개소, 아동복지시설 2개소, 장애인생활복지시설 2개소, 어린이집 6개소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