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언어철학

다른 표기 언어 philosophy of language , 言語哲學

요약 언어의 기능이나 본질 등을 연구함으로써 인간과 삶과 세계의 근본적인 이해에 도달하려는 철학.
(독). Sprachphilosophie.

현대의 언어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다음의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빈 학파의 논리적 실증주의에서 시작된 논리적 언어분석에서는 언어가 순수한 기계적 체계의 구조로 관찰되며 과학적인 언어획득을 가장 중요한 과제로 삼는다.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적 언어분석은 언어구조의 형식들을 인간의 일상적인 삶의 형식에서 관찰한다. 그는 언어의 게임이 삶의 게임의 표현이라고 보았으며, 따라서 이질적인 일상언어의 분석에 치중했다.

③ 페르디낭 드 소쉬르에서 시작된 과학적 언어학의 이론은 개별적 언어를 넘어 모든 언어들의 보편적인 구조를 찾아 그 보편 문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④ 독일 낭만주의 철학자들인 함만·헤르더·훔볼트 등의 사상에 기초한 해석학적 언어철학이다. 언어의 참다운 철학적 의미를 처음으로 발견한 사람들은 독일 낭만주의 철학자들로서 이들에 의하면 언어는 인간 사유의 표현이 아니라 사유의 기관으로 사유는 언어에 의존해 이루어지며, 또 언어 자체는 창조적인 에너지로 각 민족의 얼이 스며 있는 것이다. 현대에 들어와 이들의 사상을 이어받은 카시러는 〈상징적 형식들의 철학 Philosophie dersymbolischen Formen〉(1923~29)에서 언어는 객관적인 현실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고 현실을 형성하는 것이며 인간은 언어가 형성해주는 현실만을 알고 있다고 했다.

이렇게 언어에 의해 재창조된 세계를 카시러는 상징적 세계라고 했는데 훔볼트는 일찍이 이것을 중간세계라고 불렀다. 한스 립스는 〈언어의 구속성 Verbindlichkeit der Sprache〉(1944)에서 언어의 창조력을 논했고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 Sein und Zeit〉에서 '말하는 현상'으로서 '대화'를 중요시했으며 "언어는 존재의 집이다. 언어의 집 속에 인간은 산다"고 언명하기도 했다. 이외에 가다머는 그의 해석학과 관련해서, 헤버마스는 이상적인 언어상황과 관련해서, 볼노브는 교육학적 의미에서 그들의 저서를 통해 언어 문제를 다루었다.

해석학적 언어철학에서는 언어는 모든 사물들이 그 속에서 스스로를 밝히는 이해의 지평이며, 언어의 세계는 가능성의 세계라고 보고, 따라서 언어는 현실을 이룩해가는 창조적인 힘이며 공동체의 구심력이라고 주장했다. 또 철학적 인간학과 관련해, 인간은 언어를 통해 외부세계를 파악·정리·형성해가는 과정을 거쳐 그의 정신 기능들을 발전시키며, 이러한 삶의 형성과정을 통해 그의 사람됨을 이룩한다고 말한다.

위의 4가지의 연구방법 중 앞의 3가지는 창조적인 인간의 주체성이 언어현상의 관찰대상에서 배제되어 있다. 4번째의 해석학적 언어철학은 언어의 본질을 주체적인 인간과의 관계에서 이해하고, 일상적인 언어현상을 삶의 현상의 핵심으로서 관찰하고 해석하려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언어철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