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물고기·김·굴 등 수산식물과 수산동물을 인공적으로 기르고 번식시키는 일(→ 동물육종).
한국의 양식산업은 1921년 수산시험장이 설립되면서 시작되었지만 그 성과는 미미했다. 1960년 중반 이후 다시 활성화되어 1963, 1968년에 미역과 다시마의 인공 채묘와 양식시험이 시작되었으며, 1967, 1973년에는 굴과 피조개의 천연 채묘와 양식시험이 착수되었다.
또 1972년에 제주도를 시작으로 1978년 주문진, 1979년 여수, 1980년 포항, 1982년 거제, 1985년 완도 등지에 수산종묘배양장이 설립되어 종묘의 생산과 공급을 계속해왔다.
양식산업에서 생산량이 가장 많은 양식동물은 참굴로서 천연 종묘생산법에 따라 채묘하는데 양식방법으로는 수하식양성·나뭇가지양성·바닥양성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양성기간은 수하식양성이 4~10개월이고 나머지는 1~2년 정도이다. 그밖에 꼬막류의 새꼬막·피조개, 담치류의 홍합·진주담치 및 김·미역 등의 양식이 매우 활발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