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알헤시라스 회의

다른 표기 언어 Algeciras Conference

요약 스페인 알헤시라스에서 열린 국제회의(1906. 1. 16~4. 7).

알헤시라스 회의(Algeciras Conference)

스페인 알헤시라스에서 열린 국제회의(1906. 1. 16~4. 7).

ⓒ Lond1984 / wikipedia | Public Domain

프랑스모로코정부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해 유럽 강대국들과 미국이 개최한 이 회의는 제1차 모로코 위기때 절정에 이르렀다. 2년 전에 영국과 프랑스가 조인한 화친 협상에는 영국이 모로코에 대한 프랑스의 특별한 이해를 지지한다는 조항이 들어 있었다. 프랑스가 모로코의 술탄에게 경제 및 치안에 관한 '개혁안'을 제시해 협정을 이행하려고 하자, 이에 분개한 독일 황제 빌헬름 2세는 1905년 3월 모로코의 탕헤르로 갔다. 빌헬름은 술탄의 통치권을 재확인하고 교역을 위한 '문화 개방'을 계속 유지하고 요구함으로써 프랑스의 의도에 정면으로 맞섰다.

모로코 위기( Moroccan crises)

제1차 모로코 위기 이전의 모로코 분할

ⓒ Ceresnet / wikipedia | CC BY-SA 3.0

빌헬름 2세(Wilhelm II)

독일 제국 황제 겸 프로이센의 왕

ⓒ Voigt T. H./wikipedia | Public Domain

빌헬름 2세가 1906년에 알헤시라스에서 회의를 열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미국의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를 설득하자 긴장이 다소 누그러졌다. 그러나 독일의 기대와는 반대로 이 회의에서 독일의 입장을 지지한 나라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뿐이었으며 이탈리아와 러시아는 물론 영국과 미국마저도 프랑스를 지지했다. 그러나 1906년 4월 7일에 조인된 알헤시라스 협정은 겉으로는 프랑스의 세력 확장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 협정은 술탄의 독립성과 모든 열강의 경제적 평등을 재확인하고, 모로코의 치안을 맡은 프랑스와 스페인 경찰은 스위스 감찰 장관의 지휘를 받도록 규정했다. 알헤시라스 회의의 진정한 의미는 영국과 미국이 프랑스를 외교적으로 확고히 지지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모로코 위기를 전주곡으로 해서 이어질 제1차 세계대전 때 이 열강들이 맡게 될 역할을 예시해준다.

시어 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

미국의 제26대 대통령

ⓒ skeeze/Pixabay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국제회의/회담

국제회의/회담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알헤시라스 회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