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아프리카 통일기구

다른 표기 언어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요약 1963년 5월 25일에 창설된 아프리카 내 정부간 조직.

아프리카 통일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위치

ⓒ Jcbugnacki / wikipedia | CC BY 4.0

한때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남서아프리카(나미비아)를 제외한 아프리카의 모든 나라가 이 조직에 가입했다(1978~79년 코모로가 정부의 정통성 문제로 잠시 축출당했고, 1984년에는 서부 사하라에서 모로코와 전쟁을 벌이고 있던 폴리사리오 반란 집단인 '사라위 아랍 민주공화국'을 회원으로 가입시키는 문제를 둘러싸고 모로코가 탈퇴했으며, 콩고 민주공화국은 1984년 탈퇴했다가 1985년 다시 가입했음). OAU의 주요 업적은 알제리와 모로코 분쟁(1964~65)을 중재한 일이다. 나이지리아 내란(1968~70)을 중재하려는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 1980년대에 OAU는 차드 내란을 끝내기 위해 중재를 시도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종 차별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대한 경제 제재 조치를 제안했다. OAU는 국제연합(UN)에서 '아프리카 그룹'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국제문제를 조정하려는 OAU의 노력은 대부분 UN의 '아프리카 그룹'을 통해 이루어졌다. 또한 OAU는 국제연합 무역개발회의(UNCTAD) 안에 설치된 개발도상국들의 모임인 '77위원회'에서 아프리카 국가들의 상호 협력을 이끌어내는 데 이바지했다(소말리아). 이외에도 OAU는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적 발전에 힘을 기울였고 특히 농업 재건에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회원국의 내부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아 많은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간·종족간 분쟁을 제대로 해결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나의 아프리카를 달성하자는 취지하에 2001년 5월 OAU는 유럽 연합을 본떠 강력한 국가간 통합을 추구하는 아프리카 연합(AU)으로 대체되었다. OAU의 최고 기구는 국가 및 정부 수반들의 연례회의였으며 이 정상회담이 열리지 않는 동안에는 각 회원국의 외무장관으로 구성된 각료회의에서 정책결정이 이루어졌다.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에 OAU 본부가 있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아프리카 통일기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