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신흥군

다른 표기 언어 新興郡
요약 테이블
위치 함경남도 중부 내륙
인구 104,002 (2008)
면적 1,200㎢
행정구역 1개읍 3개구 21개리

요약 함경남도 중부 내륙지대, 성천강 상류 연안에 있는 군.

동쪽은 덕성군, 서쪽은 장진군·영광군, 남쪽은 함흥시·흥원군, 북쪽은 부전군 및 양강도 김형권군과 접하고 있다. 행정구역은 신흥읍 1개읍과 발전노동자구·부흥노동자구·신흥노동자구 3개구, 경흥리·기린리·길봉리·대동리·동곡리·동흥리·반석리·부연리·상원천리·서곡리·서남리·영고리·영웅리·우상리·원동리·중평리·창서리·축상리·하원천리·흥경리·흥복리 등 21개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소재지는 신흥읍이다(2002). 면적 1,200㎢, 인구 104,002(2008).

신흥군

신흥군의 지도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혁

고려 때 윤관이 이 지역을 수복한 후 함흥부에 영속되어오다가 1914년 함흥부의 5개면, 홍원군의 2개면, 장진군의 1개면이 통합되어 신흥군으로 신설되었다. 8·15해방 당시의 행정구역은 가평면·원평면·신흥면·서고천면·영고면·상원천면·하원천면·동상면 등 8개면으로 되어 있었다. 1952년 12월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신흥군의 일부지역을 부전군과 영광군에 이관시키고 1954년 10월 부전군의 발전리·상원천리·서곡리·동곡리·해방리·반석리·축상리·신풍리·영웅리·흥경리·복거리·동흥리·부연리·영고리·경흥리·기린리를 편입시켰으며, 발전리는 발전노동자구로 개칭했다. 1961년 3월에는 창서리의 일부가 신흥읍에 편입되었으며, 1967년 10월에는 복거리가 경흥리와 영웅리에 각각 편입된 후 폐지되었다. 1974년 8월에는 신흥리와 부흥리를 각각 노동자구로 개칭했다.

자연환경

북부에는 부전령산맥, 남동부에는 함관령산맥, 동부에는 거두봉산맥이 뻗어 있어 성천강 유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산지를 이루고 있다.

부전령산맥에는 명당봉(1,800m)·금패령(1,637m)·백역산(1,856m)·부전령(1,355m)·백암산(1,739m)·고대산(1,766m) 등이 있고, 거두봉산맥에는 배재산(1,918m)·천산대봉(1,976m)·태백령(1,202m) 등이 있다. 또한 함관령산맥에는 팔봉(1,682m)·솔개봉(1,164m) 등이 있으며, 그밖에 군내에는 두루봉(1,350m)·장동산(405m)·천불산(1,453 m) 등이 솟아 있다. 성천강이 군의 중앙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흐르며, 그 지류인 서곡천·부흥천·동덕천·원천강 등 30여 개의 소하천들이 흘러든다.

기반암은 편마암·화강암·화강편마암 등이며 토양은 갈색삼림토·사양토이다. 주요지하자원은 납·아연·몰리브데넘·금·석탄 등이다. 연평균기온 8.7℃ 내외, 1월평균기온 -7.3℃ 내외, 8월평균기온 22.4℃ 내외, 연평균강수량 933㎜ 정도이다. 산림은 군면적의 85%를 차지하며, 소나무·참나무·피나무·황철나무·가래나무·잣나무·전나무·사스래나무·가문비나무·분비나무·잎갈나무 등이 자란다.

산업과 교통

경지는 군면적의 10%에 불과하며, 주요농산물은 옥수수·쌀·감자·담배 등이다. 특히 담배생산량은 도내 1위로서 영웅리·서곡리·중평리·서남리·원동리 일대에서 재배된다. 사과·배·포도·살구 등의 과수재배와 신흥종축장·신흥종우장을 중심으로 한 소·양·토끼 등의 가축사육이 활발하다. 그밖에 풍부한 산림자원을 이용한 원목·조선용목재·광산갱목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력산업은 이 군의 주요산업이 되고 있다.

부전강을 유로변경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부전강발전소가 제6호발전소까지 건설되어 동해지구 화학공업을 비롯한 각 공장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그밖에 군내에는 식료·종이·직물·피복·기계·제약·도자기 공장 등이 있으며, 신흥·부흥 노동자구에 있는 장갑차공장은 북한 최대의 탄약공장으로 알려져 있다. 수지공예품과 도자기는 이 지역의 특산물이다.

신흥선(함흥-부전)이 지나며, 부전령산맥을 넘는 송흥-부전령 구간에는 인클라인 시설이 되어 있다. 그밖에 부전령을 넘어 부전군으로 가는 도로와 불개미령을 넘어 양강도 김형권군으로 가는 도로가 있다.

문화와 관광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쌓은 가평성터·장성터·부전령 보루 등이 있다. 단군신화와 관련된 천불산에는 신라시대의 사찰인 개심사와 말사인 기린사·관음사·대승암·불정암·견불암 등이 현존하고 있다. 또한 천불산 북쪽의 높은 산인 관음방에서 바라보는 동해의 모습이 절경이다. 조선조 양사언이 명명했다는 일우암과 부전령 아래의 삼부연폭포도 경승지로 알려져 있다. 천불산은 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으며, 그 아래 영광군에는 백악폭포(북한 천연기념물 제259호)가 있다.

신흥고등중학교·원흥고등중학교가 알려져 있으며, 각급학교와 탁아소·유치원·영화관·도서관·군중문화회관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신흥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