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슬로바키아와 한국과의 관계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슬로바키아와 한국은 1993년 국교를 수립했다. 슬로바키아에서 한국의 위상은 한국 기업의 진출과 함께 상승하고 있다. 한국의 대슬로바키아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원동기 등이며 주요 수입품은 승용차, 타이어, 자동차부품 등이다. 양국 간에는 예술 분야와 학술 분야 등 다방면에서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슬로바키아와 한국

슬로바키아와 한국의 국기

ⓒ argus/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외교

슬로바키아와 한국은 슬로바키아가 체코로부터 분리 독립한 1993년 1월 1일 외교관계를 수립했으며, 슬로바키아는 북한과도 같은 날짜에 수교했다. 주슬로바키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브라티슬라바에 있다. 주한 슬로바키아대사관에서는 북한과의 업무도 겸하고 있다. 최근 한국 기업들의 슬로바키아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국가 위상도 상승하고 있는 추세다. 2014년 7월 슬로바키아가 소속된 비세그라드 그룹(Visegrad Group)의 네 국가들과 한국의 장관급 회담이 최초로 열리면서 각 국가들의 지역사회와 경제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 지원 협정이 이루어졌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한국의 대슬로바키아에 대한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5년에 EU국가 중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한국의 대슬로바키아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부품,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원동기, 광학기기, 컴퓨터 등이며, 주요 수입품은 승용차, 타이어, 자동차부품, 베어링, 기타 산업기계, 펌프 등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슬로바키아 수출액은 26억 7,586만 달러이며, 수입액은 6억 3,127만 달러이다. 양국은 이중과세 방지협정(2003. 7), 투자보장협정(2006. 2), 운전면허 상호인정협정(2007. 11), 문화·교육 및 관광 협력협정(2007. 11), 사회보장협정(2010. 3) 등의 협정을 체결한 바 있으며, 2011년에는 유럽공동체 및 그 회원국 간의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했다.

문화 교류·교민 현황

양국은 2007년 슬로바키아의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의 방한 공연을 비롯하여 질리나 한국 영화제와 브라티슬라바의 한국 영화제, 2010년 한식경연한마당과 2011년의 한국어말하기 대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교류하고 있다. 또한 한국외국어대학교, 포항공대,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한국 주요 대학들은 슬로바키아의 코메니우스대학교, 슬로바키아 기술대학교, 질리나대학교 등과 협력약정을 체결하여 학술적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2023년 기준 슬로바키아에 거주하고 있는 재외동포는 1,481명이며, 2023년 기준 한국에는 슬로바키아 국적의 등록외국인 76명이 거주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유럽

유럽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슬로바키아와 한국과의 관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