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송편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절식의 하나. 멥쌀가루와 콩, 팥 등을 사용하여 만든다. 옛 문헌에 따르면 정월 보름날에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세워 둔 곡식 이삭으로 중화절에 송편을 빚어 노비에게 나누어 주는 풍속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송편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요

떡의 하나.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추석에 햅쌀로 정성스레 송편을 빚어 차례를 지내는 것이 전통이었는데, 이 풍습은 오늘날까지도 전해지고 있다. 송편을 만들 때는 가족끼리 도란도란 빚어 먹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때 ‘송편을 예쁘게 빚으면 예쁜 자식이 태어난다’는 속설이 생기기도 했다.

유래

송편의 정확한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중화된 것은 고려시대를 기점으로 한다고 전해지며,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따르면 정월 보름날 농가에서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집집마다 장대에 곡식 이삭을 달아 대문간에 세워 두었다가 중화절에 이것으로 송편을 만들어 노비의 나이 수대로 나누어 주는 풍속이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날을 ‘노비일’이라고 하며, 이 떡을 ‘나이 떡’이라 했다.

종류

재료나 모양, 지역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가장 먼저 수확한 햅쌀로 빚은 송편은 ‘오려송편’이라고 하여 조상에게 차례를 지낼 때나 산소에 가져가는 용도로 쓰고, 송편의 색에 따라 흰 송편, 쑥 송편 등으로 나누기도 한다. 모양새의 경우 서울에서는 조개 모양으로 송편을 빚지만 황해도나 강원도에서는 손가락 자국을 내어 만들고, 평안도에서는 손바닥만 하게 큰 송편을 빚는다.

제조법

멥쌀가루를 익반죽하고 콩, 팥, 밤, 깨 등으로 만든 소를 넣어 보름달, 반달, 모시조개 모양으로 빚어 만든다. 이때 멥쌀가루에 쑥이나 블루베리 등을 넣어 색을 내기도 한다. 빚은 떡은 솔잎을 깔고 쪄서 헹군 다음 소쿠리에 건져 물기가 빠진 후에 참기름을 바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음식

음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떡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송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