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대구 중구에 있는 재래시장. 규모가 크고 물품이 다양해 전국 3대 전통시장으로 꼽힌다.
목차
접기-
개요
-
역사
-
20세기 이후 현황
- ┗ 화재사건
개요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에 있는 시장이다. 대구에서 가장 규모가 큰 재래시장으로 전국 3대 전통시장으로 꼽힌다. 조선 중기 5일장으로 시작했으며 과거에는 ‘대구장’이라 불렸다. 서문시장(西門市場)은 17세기 대구읍성 서문 밖으로 이전하면서 붙은 이름이다.
서문시장은 전체 6개 지구로 구성된다. 6개 지구는 1지구, 2지구, 4지구, 5지구, 동산상가, 건해산물상가 등이다. 2016년 기준 서문시장에서 영업하는 점포는 4,600개 이상이며 상인 수는 약 2만 명이다. 시장에서는 주단과 포목 등 섬유 관련 품목과 한복, 이불, 의류, 그릇, 공예품, 청과, 건어물, 해산물 등 다양한 상품을 거래한다. 영업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로 상가 및 점포마다 차이가 있다. 쉬는 날은 매월 첫째, 셋째 일요일이다.
역사
서문시장은 조선 시대 이래로 영남지방 상업의 중심지였다. 시장이 처음 들어선 것은 15~16세기 조선 중종, 명종 시대다. 당시에는 규모가 작은 읍성 향시(鄕市)로 대구읍성 북문 밖에서 5일장 형태로 열렸다. 거래 물품은 농산물과 가축 등이었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이후 경상좌·우도가 통합되자 시장의 입지도 달라졌다. 조선시대 각 도의 관찰사가 근무하는 관청인 감영이 대구읍성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대구는 영남지방의 정치적, 경제적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당시 대구장이라 불리던 시장은 1679년(숙종 5) 경상도의 대동법 시행 전후로 감영 서문 밖 인교동 근처로 이전했다. 대구 서문시장이란 이름도 이때 생겨난 것이다. 특히 대구 지역에 육로와 낙동강 수운이 발달하면서 조선 말기에 이르러서는 전주, 평양과 더불어 3대 향시로 꼽힐 만큼 번창했다.
19세기에는 서문시장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향시가 개설되었다. 당시 열린 시장으로는 화원장, 상시장, 매원장, 자인장, 대구동문시장, 남창장, 하양장, 하빈장, 경산장, 해안장, 칠곡장, 반야장 등이 있다. 서문시장을 포함한 대구향시권은 성주나 영천, 경주, 의성, 안동 등의 향시권과도 빈번하게 교류하여 수많은 물품이 오갔다. 당시에는 왜물(倭物)을 포함해 서문시장에서 사지 못하는 물품이 없었다고 전한다.
20세기 이후 현황
1919년 서문시장 장꾼들이 대구지방의 3·1운동을 주도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1922년에는 일제가 장소가 좁다는 명분을 내세워 서문시장을 현재의 대신동으로 이전시켰다. 그러나 장소를 이전한 뒤에도 서문시장의 명성은 계속 유지되었다.
서문시장은 6·25 전쟁 이후 전국 최대의 의류·포목 도매시장으로 발전했다. 전통적인 섬유도시인 대구의 각종 직물공장과 연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피난민으로 인해 대구 지역의 인구가 급증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한다. 1950년대 후반에는 대구시 15개 시장 총거래량의 40%를 차지하는 호황을 누리기도 했다. 서문시장은 1960년대 말까지 경상도와 충청도, 전라도의 상권을 움직이는 중심으로 전국 섬유거래량의 2분의 1 정도를 차지했다.
1970년대 들어서면서 서문시장은 이전보다 쇠퇴하게 된다. 대구 지역의 섬유공업이 급속한 산업화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해 지위가 하락하면서 서문시장의 도매기능에 영향을 준 것이다. 전국 도로망의 발달로 서울과 부산을 중심으로 유통체계가 변화한 것도 영향을 주었다. 이후로는 경상북도와 전라도 일부 지역에 값싼 면직물과 화학섬유, 메리야스, 재봉실 등을 도매하고 있다.
화재사건
일제강점기에 지은 낡은 건물과 좁은 통로 등으로 인해 1970년대에만 큰 화재가 23번 발생했다. 대도시 중심 지역에 있고 기존의 터전이 협소해지면서 시장으로 진입하는 도로의 교통체증이 빈번해진 문제도 있다.
2005년 12월 29일 대형 화재가 발생해 서문시장 2지구 전체가 불에 타 없어졌다. 화재로 사라진 2지구는 재건하여 2012년 9월에 영업을 시작했다. 2016년 11월 30일 새벽 서문시장 4지구에서 대형 화재가 다시 발생했다. 소방인력이 투입된 지 6시간 만에 큰 불길은 잡았으나 소방관 2명이 부상을 당했다. 이 화재로 4지구 상가 전체가 전소하여 830개 이상의 점포가 소실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goo.gl/D6TNJY
- ・ 서문시장 홈페이지, http://smmarket.modoo.at
대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