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영

다른 표기 언어 監營

요약 조선시대 각 도의 관찰사가 집무하는 관청.

감영

원주 감영 내삼문, 사적 제439호, 강원 원주시 일산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감영

원주 감영 선화당, 사적 제439호, 강원 원주시 일산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감영

원주 감영 조감도, 사적 제439호, 강원 원주시 일산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감영

원주 감영, 사적 제439호, 강원 원주시 일산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찰사는 고려시대의 안찰사(按察使)제도를 이어받은 것이나, 안찰사가 임시적인 순찰관(巡察官)의 성격이 강했던 데 반해 집권체제가 강화됨에 따라 임기가 확립된 전임관으로서 자리잡았다. 이에 따라 한 도의 장관으로서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장소에 전임기구를 갖추게 되었는데 이를 감영이라 한다.

감영의 조직구성은 한 도의 행정과 군사 최고책임자인 관찰사와 함께, 관찰사를 보좌하는 임무를 띠고 중앙에서 파견된 정3품 경력(經歷), 종5품 도사(都事), 종5품 판관(判官) 등의 관원과 그 지역의 토착민을 임명하는 이예직(吏隸職) 등이 있었다. 감영의 소재는 경기도 돈의문(敦義門) 밖, 충청도 충주(선조 35년 공주로 옮김), 경상도 상주(선조 29년 달성으로 옮김), 전라도 전주, 황해도 해주, 강원도 원주, 함경도 함흥, 평안도 평양 등이었다.→ 관찰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대구 경상감영 중 외삼문 정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감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