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삼별초의 항쟁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삼별초의 난, 삼별초의 대몽항쟁

요약 1270년 배중손은 삼별초를 이끌고 항전을 일으켜 온을 왕으로 삼고 관부를 세웠는데 사태가 불리해지자, 근거지로 진도로 옮긴 후 기세를 크게 떨쳐 남해·창선·거제·제주 등 30여 개 섬을 지배하는 해상왕국을 이룩했다.
1271년 고려와 몽골 연합군이 진도에 대한 총공세를 펼쳐 함락시켰다. 삼별초는 김통정을 중심으로 근거지를 제주로 옮기고 항거했으나 1273년에 진압되다.
삼별초 항거는 반외세·반정부의 기치를 든 일반민중의 참여로 일어난 13세기 후반의 가장 방대한 항전이었고, 고려 정부와 원에 큰 타격을 주었다.

1270(원종 11)~73년에 일어났다.

삼별초

삼별초 항몽순의비, 제주 북제주군 애월읍 고성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삼별초는 경찰로서의 치안유지 및 무인집권자들의 정권유지 기반의 역할을 했다(무인정권). 또한 대몽항쟁기에 모든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최씨정권이 붕괴된 이후에도 무인집권자들의 권력쟁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세력이었다.

고려 왕실은 대몽강화를 주도하면서 무인집권기에 빼앗겼던 권력을 장악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무인정권의 무력기반인 삼별초를 해체했고, 이는 곧 삼별초의 존립을 위협하는 것이어서 삼별초가 봉기했다. 한편 대몽강화 후 국왕 측근의 문신들이 몽골과 친선유대를 강화하여 왕권을 확고히 하는 동시에 무인들의 집권을 방지하려 한 데서 비롯된 무인들의 반발과, 몽골의 압력에 의한 일본원정 준비로 고려가 입는 막대한 피해와 희생도 항쟁의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이 항쟁에는 몽골에 대한 고려의 종속을 막자는 의도도 있었다.

1270년 장군 배중손(裴仲孫)은 지유(指諭) 노영희(盧永熺)와 함께 삼별초를 이끌고 항전을 일으켰다. 양반과 백성들을 강화도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한편, 왕족 승화후 온(承化侯 溫)을 왕으로 삼고 관부(官府)를 세웠다. 그러나 양반관리들과 군사들이 강화도를 빠져나와 육지로 도망함으로써 사태가 불리해지자, 선박을 모아 재물과 백성·노비 등을 싣고 남쪽으로 내려가 진도(珍島)를 근거지로 삼았다.

진도로 옮긴 삼별초 정권은 그 기세를 크게 떨쳐 남해(南海)·창선(彰善)·거제(巨濟)·제주(濟州) 등 30여 개 섬을 지배하는 해상왕국을 이룩했다. 육지에도 세력을 뻗쳐 육지의 물자를 진도로 옮겨 항전의 태세를 굳게 하고 장흥(長興)·합포(合浦:지금의 馬山)·금주(金州:金海)·동래(東萊) 등 연안 요지를 비롯하여 전라도 등지를 공격하여 그 위력을 떨쳤다. 이에 따라 조운(漕運)이 막힌 개경 정부는 경제적으로 큰 위협을 받았다. 이렇게 삼별초가 진도에 웅거하여 세력을 떨치자 주군(州郡)이 호응하여 진도까지 가서 알현했으며, 육지의 봉기세력 또한 이들의 영향을 받는 형편이었다.

한편 개경 정부는 삼별초가 진도로 들어가자 김방경(金方慶)을 역적추토사(逆賊追討使)로 삼아 몽골군과 함께 이를 쫓게 했으나 힘이 미치지 못했다.

이에 새로 김방경을 전라도토역사(全羅道討逆使)로 삼아 몽골원수 아해(阿海)와 함께 진도를 공격했다. 그러나 완강히 저항하는 삼별초의 기세를 꺾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아해는 겁을 먹고 후퇴했다. 몽골은 아해를 소환하고 흔도로 대체시키는 한편, 군대를 증강했다.

고려에서도 양반·백정(白丁)·잡색(雜色)·승도(僧徒)를 징발하고 다시 지방군까지 동원하여 병력을 증강했다. 이리하여 고려와 몽골 연합군은 1271년 5월에 진도에 대한 총공세를 폈고, 진도는 이들에게 함락당해 승화후 온과 배중손이 여기에서 죽었다. 이에 삼별초는 다시 김통정(金通精)을 중심으로 그 근거지를 탐라(耽羅:濟州道)로 옮기고 마지막으로 항거 했다. 개경 정부는 몇 차례 회유했으나 실패하자 김방경을 중심으로 다시 고려와 몽골 연합군을 편성, 탐라를 공격하여 1273년에 삼별초의 항쟁을 진압했다.

삼별초의 항쟁은 몽골과 강화한 뒤 민란으로 인해 민의 성숙한 사회의식이 고조된 상황에서 왕실, 친몽골파 귀족들과 대립되는 친무인파와 기존의 반외세·반정부의 기치를 든 일반민중의 참여로 일어난 13세기 후반의 가장 방대한 항전이었고, 고려 정부와 원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삼별초 항쟁의 좌절은 민의 역동적인 사회변화 의식을 저하시키고, 이로 인해 14세기 민의 움직임에도 깊은 영향을 주었다.→ 삼별초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고려

고려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삼별초의 항쟁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삼별초의 항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