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한국의 사회학은 토착학문이라기보다는 서유럽으로부터 이식된 학문이며, 일반적으로 해방 이후 각 대학의 사회학과에 기초를 두고 발달한 제도권 사회학을 말한다. 해방 이후의 한국 사회학은 일본 교육체계의 유제로서 프랑스·독일 등의 서유럽 사회학을 중심으로 하는 이론적·사변적 사회학이었다.
1950년대 이래 실증주의적이고 행동과학적인 미국 사회학이 주류를 형성했고, 그결과 사실 탐구를 위한 사회조사가 널리 행해지면서 산업화 시기의 정책결정에 지대한 공헌을 하게 되었다.
이후 미국 사회학의 무비판적 추종경향이 비판되고 한국의 역사적 사실과 한국사회의 총체적 해명을 위한 이론적 틀이 모색되면서, 1970년대 중반 이래 한국적 사회학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모색의 연장선 위에서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마르크스주의와 한국사회의 현실을 접합시키려는 새로운 시도가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태그 더 보기
사회
사회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