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블랙 스테이트

다른 표기 언어 black state

요약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국내 흑인들의 분리거주구역으로 지정한 10개 종족 영토의 총칭.
옛 이름은 Bantu Homeland, Bantustan.

블랙 스테이트(black state)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후 블랙 스테이트의 위치

ⓒ Htonl/wikipedia | CC BY-SA 3.0

블랙 스테이트는 인종과 언어를 기준으로 한 분류에 입각해 조직되었다. 이 흑인영토들 가운데 3개가 1970년대에 독립을 선포했다. 즉 트란스케이가 1976년에, 보푸타츠와나가 1977년에, 벤다가 1979년에 각각 독립국임을 선포한 것이다. 1981년에는 시스케이의 독립이 선포되었다. 그러나 이들의 독립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지 못했다.

나머지 6개의 블랙 스테이트인 가잔쿨루·콰줄루·레보와·콰은데벨레·캉그와네·콰콰는 1984년초까지 자치는 유지했지만 독립은 되지 않았다. 1913, 1936년에 제정된 토지법은 전국적으로 많은 구역을 흑인을 위한 보호지역으로 규정했다. 그후 몇 십 년 동안에 보호구역의 부분적인 확장·정비·재배치가 이루어졌다. 1959년 특정의 인종집단은 특정의 구역을 '홈랜드'(homeland)로 삼는다는 것을 인정하는 흑인자치정부 수립계획이 법제화되었다. 이 법은 흑인들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라는 남아프리카에 대한 국제적인 압력이 증대함에 따른 대책으로, 모든 홈랜드에 단계적으로 자치를 부여할 계획을 요약한 것이다. 1970년의 홈랜드 시민법은 남아프리카의 타지역에 거주하는 흑인들을 그들의 인종집단의 영토로 지정된 홈랜드의 합법적인 시민으로 규정했다. 많은 흑인 정치지도자들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에서의 궁극적인 흑백 통합을 바라며 블랙 스테이트의 구상에 저항해왔다. 1982년 현재 블랙 스테이트 가운데 2개만이 하나의 경계 안에 통합된 영토를 가지고 있고, 나머지는 서로 분리된 2~10개의 영토들로 이루어져 있다. 1980년 실시한 조사에 의하면 남아프리카 전체 흑인 인구의 약 2/5가 블랙 스테이트에 살고 있었는데, 이 통계에는 그당시에 이미 독립한 나라인 트란스케이·보푸타츠와나·벤다는 제외되었다.→ 벤다, 보푸타츠와나, 시스케이, 트란스케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블랙 스테이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