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국의 부채

다른 표기 언어

한국 부채의 기원은 고구려 안악3호분 벽화에 털부채가 그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서 매우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록으로는 〈삼국사기〉 견훤조에 부채를 사용한 예가 보이듯 고려시대 초기에 이미 부채가 있었으며, 특히 한국의 부채는 국교품으로 중국이나 일본 등 여러 나라에 진출하여 그 아름다움과 정교함이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올수록 부채는 더욱 정교해지고 종류도 다양해졌다.

한국의 부채는 형태에 따라 둥글부채와 접부채로 나뉜다. 둥글부채에는 공작선·파초선·태극선·연엽선·오색선·진주선·송선·세미선 등이 있다. 접부채에는 승두선·사두선·어두선·합죽선·반죽선·외각선·내각선(변죽의 바깥쪽에 대나무 또는 보통나무를 2개 합치고 안쪽에 뿔을 댄 부채)·삼대선·이대선·죽절선·단목선(변죽에 붉은 박달나무를 사용한 부채)·채각선·소각선·광변선(부채살도 많고 퍼짐이 반원 모양으로 넓게 퍼지는 부채)·협변선·유환선·무환선 등이 있다. 이 명칭은 부채 모양과 부챗살의 재료, 부채바탕의 꾸밈, 부속품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 이러한 부채들은 대개 여름이 시작되기 전인 단오에 많이 준비되었다.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 따르면, 단오날에 공조에서 단오선을 만들어 진상하면 왕은 이것을 각 궁의 재신과 시종들에게 나누어주었다고 한다(→ 단오부채). 단오날의 액막이인 애호란 이것이다. 또 호남·영남의 방백과 절도사의 외관 혹은 내관이 그 지방의 특산품으로 부채를 궁중에 진상하고 조관과 친지에게 선사하는 풍속이 있었으니 전주와 남평이 그 명산지로 유명하다. 부채를 받은 이는 대개 부채에 금강산 1만 2,000봉을 그리거나 버들가지·복사꽃·연꽃·나비·흰붕어·해오라기 등과 글씨를 써 가지기도 했다.

부채의 쓰임은 의례용·장식용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었다. 일반적으로 백색과 흑색·황색을 좋아했으나 부녀자와 어린아이들은 여러 빛깔의 색선을 사용하기도 했고, 혼례 때 신랑은 푸른 부채, 신부는 붉은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상중일 때는 흰 부채를 사용했다. 주로 여름철에 바람을 일으키는 데 썼으나 숯불을 피울 때나 해가리개 혹은 파리나 모기를 쫓는 도구로도 널리 이용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공예

공예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한국의 부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