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봉화군의 산업과 교통

다른 표기 언어

이 군의 토지이용은 임야 82.7%, 경지 11.3%로 경지면적이 절대 부족하며, 총경지면적 122.44㎢ 가운데 논 34.82㎢, 밭 87.62㎢이다(2013). 주요농산물은 조·옥수수·수수·콩·고구마·감자 등이며, 석포면·소천면·춘양면 일대를 중심으로 고랭지채소가 재배된다. 그밖에 고추·마늘·담배·인삼·산수유를 비롯한 각종 약초와 버섯류가 생산된다.

산수유

산수유꽃 만개한 봉화 두동마을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히 산수유는 봉성면 동양리와 물야면 가평리에서 집단적으로 재배되며, 봉화의 특산물인 춘양목은 계속된 벌채로 인해 현재는 성창임원개발 소유의 소천면 남회룡리 일대에만 숲이 이루어졌을 뿐이다.

2013년 기준 가동중인 광산은 26개소이며, 연·아연·석회석·운모 등이 생산된다. 석포면 대현리의 연화광업소는 한때 국내 제1의 아연광산이었으나 1993년 9월 이후 생산이 중단되었다. 또한 몇 해 전까지 소천면 분천리의 육방광업소에서는 우수한 품질의 중석이 생산되었으며, 춘양면 우구치리의 금정광산도 예로부터 이름난 금광산이었으나 지금은 모두 폐광 상태이다. 공업은 현재 18개의 공장이 입지하고 있으나 대부분 영세하며, 봉화읍 삼계리 신흥마을의 신흥유기(新興鍮器)는 1920년을 전후하여 경기도 안성과 함께 유기 생산의 쌍벽을 이루었으나 현재는 주문생산에 의해 소규모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상업은 1960년대초까지만 해도 내성장(乃城場)을 중심으로 크게 성했으나, 이후 상설점포가 증가하고 국가의 거점개발정책에 의해 급성장한 영주시의 생활권에 의존하면서 정기시장의 기능이 점차 쇠퇴하여 현재는 2개소의 정기시장만이 개설되고 있다. 1980년 봉화읍에 상설시장인 봉화시장이 개설되어 특산물의 집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산간지대로서 교통이 매우 불편했으나 영동선이 군의 중앙을 동서로 가로질러 영주·태백·영동 지방을 연결하고 있으며, 제천-울진을 잇는 국도는 간선 산업도로로서 이용가치가 높다. 또한 태백과 안동을 잇는 국도가 동부를 남북으로 지나가고 있어 영남-영동, 내륙-동해안을 연결하는 교통상 요지가 되고 있다. 도로총길이 483.78km, 도로포장률 74.1%이다(2013).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산수유


[Daum백과] 봉화군의 산업과 교통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