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보르노

다른 표기 언어 Borno
요약 테이블
위치 나이지리아 북동부
인구 6,713,792명 (2020년 추계)
면적 70,898㎢
언어 영어
대륙 아프리카
국가 나이지리아

요약 나이지리아 북동부의 주이며 전통적인 토후국. 북쪽은 니제르, 북동쪽은 차드 호와 차드 공화국, 동쪽은 카메룬과 접하고, 남쪽과 서쪽은 공골라·바우치·카노 등의 주와 경계를 이룬다. 수수·기장·땅콩·양파·옥수수·깨·아차·목화·인디고 등의 재배와 가축사육이 주된 생업이며, 차드 호 일대에서 행해지는 어업의 비중도 크다.

보르노(Borno)

ⓒ Profoss/wikipedia | CC BY-SA 3.0

북쪽은 니제르, 북동쪽은 차드 호와 차드 공화국, 동쪽은 카메룬과 접하고, 남쪽과 서쪽은 공골라·바우치·카노 등의 주와 경계를 이룬다. 나이지리아에서 가장 넓은 주이지만 인구밀도가 가장 낮은 곳 중 하나이기도 하다. 카누리족이 이룬 옛 보르누 제국의 중심부인데, 보르누라는 이름은 '베르베르족의 고향'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보르누는 원래 12, 13세기에 번성했던 카넴 제국 최남단에 있는 주였는데, 14세기말 제국이 쇠퇴하여 보르누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영토를 잃었으며 뒤이어 이웃한 적대국들과 보르누의 성장으로 카넴 제국은 마침내 멸망했다(1380경). 16세기초 보르누는 카넴을 인수하여 보호령으로 삼았다. 카넴보르누 왕국은 마이 아이드리스 알라우마(1571~1603경 재위) 통치시대에 전성기를 맞았다.

보르누 왕국의 수도였던 비르니은가자가무는 1808년 풀라니 종족이 일으킨 '지하드'(신성한 전쟁)에 의해 점령당했다. 이후 보르누 '마이'(황제)들을 자문했던 왕족 무하메드(알 아민) 알 카나미는 1814년 카누리의 수도로 쿠카와(마이두구리 128㎞ 북북동쪽)를 건설하고, 1820년대 풀라니족 지배에서 보르누를 독립시켰다. 1846년 세파와의 마이 알리 달라타미가 죽자 알카나미의 아들 우마르(오마르)는 자신이 보르누 최초의 '세후'(족장 또는 술탄)임을 선언했다. 1893년 수단의 용사, 라비 앗 주바이르(라바 주바이르)는 보르누를 점령하고 쿠카와를 파괴했으며 마이두구리에서 88㎞ 동북동쪽의 디크와를 자신의 본거지로 삼았다.

1900년 프랑스 군대가 라비를 암살하고 그곳에 알카나미 왕조를 다시 일으켰으나 결국 영국·프랑스·독일이 보르누를 분할점령하게 되었다. 보르누가 이들 세 나라에 분할점령되자 1902년 세후 부카르 가르바이는 나이지리아 북부로 도망하여 영국령 보르누 세후로 인정받았고, 보르누는 토후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1904년 가르바이는 마이두구리의 104㎞ 북북동쪽 몽구노에서 쿠카와로, 이어 1907년 예르와로 본거지를 옮겼다. 보르누 세후는 지금도 예르와에 머물게 되며, 공식적으로 소코토의 풀라니족 술탄 다음가는 전통 이슬람교 지도자로 대우받고 있다. 그후 보르누는 세기 전환기에 잠시 영국과 프랑스에 분할점령된 후 마침내 나이지리아 영토가 되었으며, 1967년 보르노 주가 되었다.

이 지역의 식생은 아카시아(아라비아 고무의 원료)·바오밥나무·무주콩나무·시어버터나무·덤야자나무·케이폭나무를 포함하는 수단 사바나형이 대부분이지만, 북부와 북동부에는 가시덤불이 주로 자라며 사질토가 섞인 사헬 사바나 지역이 있다. 두드러진 지형적 특징으로는 보르누 평원, 비우 화산고원, 그리고 차드 호 남부 및 남서부를 덮고 있는 '피르키'(검은 목화)를 꼽을 수 있다. 이 주의 물은 차드 호로 빠지는데, 강물은 우기에만 흐른다.

카누리족이 대표적 인종이지만 수와족·부라족(파비르족)·테라족·마기족·볼레와족(볼레족·피카족)·카레카레족·응기짐족·응가모족(가마와족)·가메르구족·아우요카와족·바데족(베데족)·망가족·코얌족·모베르족·베리베리족·부두마족·카넴부족 등의 종족도 상당수 살고 있다.

수수·기장·땅콩·양파·옥수수·깨·아차(구황작물)·목화·인디고(indigo) 등의 재배와 가축사육이 주된 생업이며, 차드 호 일대에서 행해지는 어업의 비중도 크다. 당나귀·황소·말·낙타는 고장 내의 운송수단으로 이용된다. 보르노의 주요수출품은 가축, 쇠가죽, 염소가죽, 악어가죽, 양가죽, 가죽완제품, 땅콩, 목화, 아라비아 고무 등인데 트럭이나 기차로 카노를 거쳐 남쪽 포트하커트나 라고스로 운반된다.

대추야자와 무화과, 천연 탄산나트륨과 소금, 그리고 차드 호에서 나는 생선도 많은 양이 거래된다. 이 호수는 호수 안으로 뻗은 반도의 부락인 바가에서부터 시작되는 신설도로로 마이두구리와 연결된다. 카메룬·차드·니제르·나이지리아는 차드 호 관리위원회를 만들어(1964) 가축·작물·어장·수자원 개발을 위해 호수와 유역의 물 사용을 규제했으며, 나이지리아는 차드 호 유역 관리국을 세우기도 했다(차드 호 분지 관리 위원회).

마이두구리는 주도이자 이 지역에서 단연 최대의 산업도시이다. 응구루·포티스쿰·가수아·비우·바마도 상당한 규모의 시장도시들이다. 마이두구리에는 공항이 있으며, 철도로 바우치와 그 남쪽으로 연결되며, 간선도로로 포티스쿰·바우치·욜라·은자메나(차드)와도 연결된다.

지도
보르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프리카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보르노


[Daum백과] 보르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