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649년초 벨라스케스는 2번째로 이탈리아를 방문하기 위해 스페인을 떠났다.
이번에 그는 침실 시종으로서의 공식적인 직무를 맡았다. 그는 아마 펠리페 4세가 교황 인노켄티우스 10세에게 보내는 선물일 것으로 생각되는 그림들의 운반을 맡았다. 이 여행의 주요목적은 왕궁의 새로운 방들을 장식하기 위하여 그림과 고미술품들을 구입하고 그 방들의 천장을 장식하기 위하여 프레스코 화가들을 고용하며 스페인에 프레스코를 재도입하는 것이었다. 벨라스케스는 이탈리아 회화에서, 특히 티치아노로부터 다시금 신선한 자극을 받았다.
처음에 그는 베네치아로 가서 티치아노·틴토레토·베로네세의 그림들을 구입했다. 그 다음에 그는 모데나로 가서 자신이 1638년에 마드리드에서 그린 모데나 공작의 초상화가 들어 있는 공작의 유명한 컬렉션을 구경했다. 팔로미노에 따르면, 그는 볼로냐를 포함한 여러 도시들에 머물렀는데 볼로냐에서는 마드리드에서 일할 프레스코 화가들과 계약을 맺었다.
팔로미노는 벨라스케스가 로마에서 프랑스 화가인 니콜라 푸생(1594~1665)과 이탈리아의 주요한 바로크 조각가인 잔 로렌초 베르니니(1598~1680) 등 유명한 미술가들 및 고위 성직자들과 친교를 맺었다고 상술하고 있다. 팔로미노는 그가 정선한 고미술품들의 목록을 기록해 두었는데 그것을 보면 그는 16세기 이래 중요한 수집가들의 전통을 따라 질이 떨어지는 원품보다는 오히려 로마에 있는 가장 유명한 조상들의 복제 주조품들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한 다른 임무를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도 많은 그림들을 그렸는데," 그중 하나로 인노켄티우스 10세의 초상화 등이 있었다. 팔로미노에 따르면, 벨라스케스는 교황의 초상화를 그리기 전에 실물을 기초로 한 습작으로서 그의 물라토 노예인 후안 데 파레하(1650년 벨라스케스가 해방시켜줌)의 초상화를 그렸다. 이것은 예외적인 비공식적 초상화로 특히 대담하게 그려졌으며 친근하고 생생한 초상의 효과를 강하게 자아내고 있다.
1970년 이 그림은 554만 4,000 달러의 금액에 팔렸는데 이 금액은 그 당시 경매된 미술품의 가격으로는 가장 높은 것이었다.
벨라스케스는 그의 가장 중요한 공식 작품들 중 하나인 인노켄티우스 10세의 초상화를 그릴 때, 라파엘로가 〈율리우스 2세 Julius Ⅱ〉(1511~12경, 런던 내셔널 갤러리)에서 처음으로 시도하고 뒤에 티치아노가 〈파울루스 3세 및 그의 손자들 오타비오와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추기경 Paul Ⅲ and His Grandsons Ottavio and Cardinal Alessandro Farnese〉(1546, 나폴리 카포디몬테 국립박물관)을 그릴 때 사용한 교황 초상화의 전통 양식을 따랐다.
강렬한 느낌을 주는 머리와 심홍색을 화려하게 배합한 커튼·의자·코프(겉옷) 등은 티치아노의 후기 양식을 능가하는 아주 섬세한 붓놀림과 능숙한 기법으로 그려져 있다. 스페인 밖에서 오랫동안 벨라스케스의 가장 유명한 그림으로 평가되어온 이 초상화는 수없이 복제되었으며, 그는 이 그림으로 이탈리아에서도 곧 유명해져서 지속적인 명성을 얻었다.
1650년 로마의 가장 유명한 미술가 단체인 '아카데미아 디 산 루카'와 '콘그레가치오네 데이 비르투오시 알 판테온'의 회원이 되었다. 그는 귀족 출신이 아니라는 사실 때문에 1659년까지 산티아고 수도회에 들어가지 못할 만큼 큰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 초상화로 말미암아 스페인 기사단의 회원이 되기 위한 매우 까다로운 신청과정에서 교황의 후원을 얻었다.
벨라스케스가 로마를 처음 방문했을 때 머물렀던 메디치 빌라를 주제로 한 2점의 작은 풍경화는 양식적으로 볼 때 그가 2번째로 로마를 방문한 기간에 그려진 것임이 틀림없다(베네치아 화파). 그것들은 그의 남아 있는 작품들 중 순수하게 풍경을 다룬 독특한 작품들로서 19세기의 인상주의를 예고한 뛰어난 그림들이다.
이른바 〈로케비 비너스 Rokeby Venus〉라고 하는 그림도 이탈리아에서 그려진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것은 19세기 이전의 스페인 회화에서는 희귀한 여인 누드화 중 하나이다. 비너스의 몸단장에 관한 주제와 화려한 채색 및 선정적인 피부 색조는 주로 티치아노 등의 베네치아파 화가들에게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러나 벨라스케스는 독특하게 모델을 꾸미거나 이상적으로 나타내려고 하지는 않았으며, 그의 훌륭한 비너스 그림은 당대로서는 예외적으로 실재 여자의 누드를 살아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묘사한 것이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화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벨라스케스의 2번째 이탈리아 여행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