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베르너 법칙

다른 표기 언어 Verner's law

요약 그림 법칙이 설명해주지 못하는 예외들을 언어학적으로 설명한 법칙.

게르만어가 변화하는 데 있어 강세가 맡은 중요한 역할을 처음으로 입증했다. 이 법칙은 음운법칙에는 예외가 없다는 19세기 언어학자들의 중요한 주장을 더욱 확고하게 뒷받침했으며, 역사언어학자들의 집단인 신문법학파가 방향을 잡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역사언어학에서 가장 위대한 발견의 하나인 이 법칙은 〈비교 언어학 연구지 Zeitschrift für vergleichende Sprachforschung〉 1875년 7월호에 덴마크의 언어학자 카를 베르너의 논문 〈첫번째 자음 추이의 1가지 예외 Eine Ausnahme der ersten Lautverschiebung〉에서 처음으로 제시되었다.

그림 법칙`y`에서는 인도유럽어의 'p', 't', 'k' 소리가 게르만어에서는 'f', 'th'나 'd', 'h'로 각각 바뀐다고 했다. 베르너는 산스크리트에서 유래한 낱말의 어근 음절에 강세가 올 때는 반드시 그림 법칙이 적용되지만, 강세가 어근이 아닌 다른 음절에 오면 게르만어에서는 그 소리가 'b', 'd', 'g'로 바뀐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법칙은 's'와 'r'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전문적으로 말하면 이 법칙은 인도유럽어나 산스크리트에서 강세가 없는 음절 다음에 나오는 모든 음절 초두의 무성마찰음은 인도유럽어의 게르만어파에서는 모두 유성음들 사이에서 유성음으로 바뀐다고 한다. 예를 들어 어근 음절에 강세가 있는 산스크리트 'bhrǎtar'는 고트어 'brōpar'와 대응하지만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산스크리트 'pitā'는 고트어의 'fadar'와 대응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베르너 법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