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그림 법칙

다른 표기 언어 Grimm's law

요약 야코프 그림이 〈독일어 문법 Deutsche Grammatik〉이라는 저서에서 체계적으로 밝힌 인도유럽어족에 속한 언어들의 규칙적 상관관계.

이 법칙은 게르만어와 유럽 및 서아시아 지역에 퍼져 있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 간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이 법칙은 덴마크의 언어학자인 라스무스 크리스티안 라스크가 일찍이 1814년에 인식한 유형을 체계적·논리적으로 공식화한 것이며, 사례를 통하여 입증시켰다. 그림 법칙은 음운변화가 일찍이 생각했던 것처럼 일부 단어에만 무작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규칙적인 현상이라는 원칙을 분명히 보여주기 때문에, 언어학사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림은 본질적으로 9개의 자음과 관련있는 2가지 자음변화를 설명했다. 그리스도교 시대보다 수백 년 전에 인도유럽어의 자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1 가지 변화는 영어와 네덜란드어, 그밖에 저지 독일어 및 고대 노르웨이어에서 분명히 찾아볼 수 있다. 6세기경에 일어난 또 하나의 변화는 범위가 그만큼 넓지 않아서 게르만어 자음에만 영향을 미쳤는데, 고대 고지 독일어와 그 파생언어인 중세 고지 독일어 및 근대 고지 독일어(표준독일어)에 뚜렷이 드러나 있는 자음체계는 이 변화의 결과이다.

그림 법칙에 따르면, 고대에 무성음이었던 p·t·k는 영어에서는 무성음 f·th·h가 되었고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는 f·d·h가 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어의 pod-, 영어의 fod-, 고대 고지 독일어의 fuo에서 첫 자음 사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상관관계가 생겼다. 또한 고대에 유성음이었던 b·d·g는 영어에서 무성음 p·t·k가 되었고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는 마찰폐쇄음인 f·ts·kh가 되었기 때문에 라틴어의 duo, 영어의 two, 근대 독일어의 zwei(tsvai로 발음됨) 사이와 같은 상관관계가 생겼다.

또한 원래 유성음이었던 bh·dh·gh는 영어에서 유성음인 b·d·g가 되었고, 고대 고지 독일어에서는 p·t·k가 되었다. 즉, 산스크리트의 bhárati와 영어의 bear 및 고대 고지 독일어 ki-peran(후에 표준독일어의 gebären)의 북부 독일 방언들을 비교해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고대 고지 독일어의 예는 영어에서 볼 수 있는 첫번째 변화 외에 2번째 변화도 보여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그림 법칙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