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베네수엘라와 한국의 외교관계는 1965년 시작됐다. 주베네수엘라 대한민국 대사관과 주한 베네수엘라 대사관은 각각 1973년, 1983년 설립됐다. 양국의 교역관계는 우호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그림, 철강관, 산업기계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LPG, 석유제품 등이다. 2015년 한국과 베네수엘라는 수교 50주년을 맞아 문화행사를 개최해 양국의 문화를 교류했다.
외교
베네수엘라는 1965년 4월 29일 한국 정부와 국교를 수립했다. 1973년 7월 주베네수엘라 상주대사관이 개설됐고 1983년 10월 주한 상주대사관이 개설됐다. 한국과는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유지해왔다. 북한과는 1974년 10월 28일 페레스 히메네스 독재 당시 국교를 수립했으나 주베네수엘라 상주공관은 설치하지 못하다가 2014년 주베네수엘라 북한대사관이 개소했다. 양국에서는 주로 차관, 장관급 인사들이 서로 방문하면서 회의를 가지고 있다.
경제·통상·주요 협정
베네수엘라와 한국의 통상규모는 큰 편이며 한국의 주요 수출품은 그림, 철강관, 산업기계, 자동차 부품, 자동제어기 등이고, 주요 수입품은 알루미늄괴 및 스크랩, LPG, 석유제품, 갈치, 동괴 및 스크랩 등이다. 2023년 기준 한국의 대베네수엘라 수출액은 2,597만 달러이며, 대베네수엘라 수입액은 868만 달러이다.
양국은 베네수엘라의 풍부한 에너지자원 개발에 공동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한국 기업은 베네수엘라의 에너지와 인프라 프로젝트 진출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 밖에 양국의 주요 협정으로는 과학기술협정(1993), 외교관·관용여권 비자면제협정 발효(1994), 문화협정(1995), 이중과세 방지협정(2003) 등이 있다.
문화교류·교민 현황
2015년은 한국과 베네수엘라 수교 50주년으로 양국은 문화 행사를 개최하며 뜻 깊은 수교를 기념했다. 2023년 기준 한국에는 145명의 베네수엘라 국적 등록외국인이 거주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베네수엘라와 한국과의 관계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