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방글라데시의 경제

다른 표기 언어

방글라데시는 중앙에서 경제전반을 관리하고 농업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개발도상국이다. 국내총생산(GDP)의 2/5가량을 농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서비스와 광업 및 제조업이 그뒤를 잇는다. 국민총생산(GNP)의 성장속도는 인구증가속도에 미치지 못하며 1인당 GNP도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작지에서는 생산량이 증가추세에 있는 밀과 쌀을 비롯한 곡물을 주로 재배한다. 그밖에 사탕수수·황마·콩류·과일(바나나·망고·파인애플)·근채류·채소·담배·참깨·차 등도 재배한다. 젖소를 비롯하여 소·염소·물소·양 같은 가축사육도 하고 있다.

벵골 만의 해안수역은 아주 훌륭한 해양어장이다. 전국토에 분포하는 수많은 하천하구·늪지대 등은 민물낚시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총어획량의 대부분이 여기에서 수확된다. 또한 가장 풍부한 광물자원인 천연 가스를 비롯해서 바닷물을 이용한 염전·석회석·고령토 등이 생산되며, 타이타늄 철광, 모나자이트, 지르콘 등을 함유한 비중이 큰 무기질모래, 질이 낮은 석탄, 토탄 등의 광상도 있다. 석유화학·금속공업과 보조공업에 이용되는 다른 광물은 수입에 의존한다.

제조업은 농산물이나 수입된 원자재 가공에 집중되어 있다. 주요공산품은 비료(일부는 천연 가스로 생산), 황마, 얇게 재압연한 강철제품, 가공되지 않은 강철 주괴, 종이 및 신문용지, 정제설탕, 석유제품, 화학제품, 차[茶], 식품, 면사, 섬유 등이다. 전력은 4/5 이상을 화력발전에 의존하며 나머지는 수력발전으로 생산한다. 방글라데시의 콕스바자르에는 세계에서 길이가 가장 긴 120km의 해변이 있다. 치타공과 다카는 관광객들이 많이 몰려드는 도시이다.

1971년에 독립한 후 대부분의 산업을 국유화했으나 1983년에 다시 거의 모든 분야가 사유화되었다. 전체 노동력의 3/5가량이 농업에 종사하며 나머지가 무역·서비스·제조업 부문 등에서 일한다. 1970년대에는 많은 국민들이 쿠웨이트·오만·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등의 건설 및 석유산업에서 일자리를 얻기 위해 해외로 나갔다.

이들이 보낸 송금은 1980년대까지 주요수입원으로 국가경제에 큰 몫을 했다. 경제는 해외원조에 의존도가 높으며 주요 원조제공처는 세계은행과 미국이었다. 국가재정 수입의 약 1/3이 관세이며 그밖에는 소비세·판매세·소득세 등으로 충당하고 있다. 경상지출은 교육(총지출의 1/5), 일반행정, 국방, 국채상환, 사법과 치안, 보건과 인구억제 등의 분야에 지출된다.

철도는 정부소유로 운영되며 국영도로(트럭 운송)회사가 하나 있다. 도로는 1/10 정도만이 포장되어 있을 뿐이다. 비교적 내륙수로가 잘 발달되었고 5개의 주요하항과 2개의 해항이 있다.

다카와 치타공에는 국제공항이 있다. 수출액은 수입액의 2/5에 불과하다. 주요수출품목은 기성의류, 황마제품, 가공되지 않은 황마, 생선, 새우, 개구리 다리, 가죽 및 가죽제품, 차(茶) 등이다. 주요 수출대상국은 미국·이탈리아·영국·일본 등이다. 기계류, 수송장비, 밀, 화학제품, 원유, 비식용 기름, 정제유, 식용유, 쌀 등을 주요수입국인 일본·미국·싱가포르·홍콩 등에서 수입한다.

방글라데시아의 수출품 컨셉이미지

ⓒ MyImages - Micha/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시아

아시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치타공 항(Port of Chittagong)


[Daum백과] 방글라데시의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