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

다른 표기 언어 康津 無爲寺 極樂殿 阿彌陀如來三尊壁畵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2009.09.02 지정)

요약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무위사 극락전의 목조아미타삼존불상 뒤의 토벽에 그려진 후불벽화.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두 협시보살입상이 본존아미타불좌상보다 조금 낮게 위치하여 삼존을 이루고 있다. 본존의 손은 아미타구품인 중 하품중생인을 결하고 있다. 지장보살·관음보살을 협시로 하는 아미타삼존의 도상적 표현이나 상단에 나한상이 등장하여 원형구도에 가까워지는 단계를 보이는 점, 각 상들의 균형잡힌 모습과 당당한 자세 등으로 조선 초기 불화에 보이는 공통된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국보(2009.09.02 지정). 1476년 작. 세로 270cm, 가로 210cm. 관음보살과 지장보살의 두 협시보살입상이 본존아미타불좌상보다 조금 낮게 위치하여 삼존을 이루고 있다. 화면 상단에는 본존의 광배 좌우로 3구씩 나한상을 배치하고, 이 나한상들과 본존 광배 위를 구름이 둘러싸고 있다. 본존의 광배는 정상부가 뾰족한 두광이 신광과 연결되어 있는 키형광배[箕形光背]로서 15세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본존의 얼굴은 둥글고 단정한 모습이며 머리의 둥근 육계 위에는 정상계주가 붉게 표현되어 있다.

무위사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 후불벽화, 보물 제1313호,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존의 손은 아미타구품인 중 하품중생인을 결하고 있다. 법의는 통견이며 오른쪽 어깨 위에 우견편단(右肩偏袒)의 변형착의법에서 나온 반달 모양의 옷자락이 걸쳐져 있고, 왼쪽 어깨에서 늘어진 옷단이 오메가(Ω)형의 도식화된 주름을 이루고 있어 고려 후기의 불상 표현을 계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군의의 상단이 띠로 묶여 가슴 위에 주름잡혀 있는 모습은 조선 초기 불화에 나타나는 불상표현의 특징으로서 이와 같은 표현이 1465년의 일본 지온인[知恩院] 소장 관경변상도 등에도 보인다.

지장보살·관음보살을 협시로 하는 아미타삼존의 도상적 표현이나 상단에 나한상이 등장하여 원형구도에 가까워지는 단계를 보이는 점, 각 상들의 균형잡힌 모습과 당당한 자세 등도 조선 초기 불화에 보이는 공통된 요소이다. 채색은 중간색조의 붉은색과 녹색을 주로 사용했으며 필선은 부드러우면서도 힘이 있다. 대좌나 광배의 장식문양, 부처의 가사나 보살상의 옷무늬 표현이 화려하고 섬세하며 전체적으로 볼 때 번잡하지 않은 밝고 은은한 분위기를 이루어 조선 초기의 걸작이라 할 수 있다.

이 불화는 화기(畵記)에 의해 아산현감을 지낸 강노지(姜老至) 외에 수십 명이 시주하여 대선사 해련(海連) 등이 그린 것으로 밝혀졌으며, 1476년 3월이라는 조성시기를 알 수 있어 불화연구에 귀중한 기준작이다. 이밖에도 극락전에는 수월관음도·아미타내영도·설법도가 그려져 있었으며 각종 꽃 등을 그린 벽화단편들이 남아 있었으나 현재는 벽화보존각에 보존되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전라남도

전라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강진 무위사 극락전 아미타여래삼존벽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