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바다사자

다른 표기 언어 northern sea lion 동의어 스텔러바다사자, Steller sea lion, 큰바다사자
요약 테이블
분류 척추동물 > 포유강 > 식육목 > 물개과
원산지 태평양, 아시아 (대한민국)
먹이 멸치, 오징어
크기 약 2.3m ~ 3.5m
무게 약 500kg ~ 1000kg
학명 Eumetopias jubatus
식성 육식
임신기간 약 343일
멸종위기등급 높은위기

요약 기각아목 물개과 바다사자속의 유일한 종. 극지방에 가깝거나 추운 온대지역에 걸쳐 북아메리카의 태평양연안(캘리포니아~알래스카)에서 살고 있다. 국내에서는 동해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주로 물고기를 먹지만 오징어도 먹는데, 바닷속 110~150m까지 내려가며 때로는 180m까지 잠수하기도 한다. 한 마리의 수컷과 10여 마리의 암컷이 무리 지어 짝짓기를 하는 특징을 지닌다. 환경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어 있고, IUCN 적색목록 준위협 동물로 등재되어 있다.

바다사자

ⓒ WIKIMEDIA COMMONS (Captain Budd Christman) | public domain

개요

물개과에 속하는 가장 큰 해양포유류. 학명은 Eumetopias jubatus이다. 스텔라바다사자(Steller's sea lion)혹은 큰바다사자라고도 불린다. 국내에는 집단 서식지는 없지만 독도, 울릉도 연안, 제주도 등지에서 가끔 발견된다. 이들은 주로 일본 홋카이도에서 번식한다. 2017년 3월에는 강릉 정동진 앞바다의 암석에서 쉬고 있는 바다사자 1마리가 발견되기도 했다.

형태

물개과에서 가장 큰 동물로 암컷은 몸길이 270cm에 몸무게 350㎏에 달하고, 수컷은 350cm에 1,100㎏이나 된다. 머리와 주둥이가 크고 넓으며 머리의 크기에 비해 눈과 귓바퀴는 작다. 꼬리는 7.7~17.8cm이다. 어린 것은 검은 갈색이지만 성체의 등과 배 부분은 각각 황갈색과 어두운 갈색이다. 물에 젖으면 회백색으로 보여 가끔 물개와 혼동된다.

생태

성숙한 수컷 바다사자는 두개골 정수리에 볏 모양의 돌출부위가 있어 암컷 및 어린 수컷과 구분된다. 바다사자의 수명은 최장 30년 정도다. 6월에 10~15마리의 암컷집단이 형성되며,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어류와 연체동물을 주로 먹고 산다. 야행성으로 암초나 섬과 같은 육지에 상륙하여 잠을 잔다.

현황

과거에는 기름과 내장을 얻기 위해 마구 사냥되기도 했다. 근래에는 먹이원의 감소, 서식지의 파괴와 오염, 밀렵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멸종위기를 겪고 있다. 특히 어획용 그물로 인한 질식, 선박과의 충돌 등으로 사체가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1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바다사자

개과

추천항목


[Daum백과] 바다사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