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명의 사회와 경제

다른 표기 언어

명 태조가 통일제국과 전제군주체제의 완성에 힘쓰는 동안, 그 통일적인 지배기구는 지방의 향촌까지 미쳤다.

태조는 사제(社制)를 해체하고 지방말단 행정기관인 현 아래에 이갑제(里甲制)를 신설하여 사실상의 국가말단조직으로 삼았다. 이갑제로 이장(里長)과 수장(首長)이 징세와 부역의 업무를 수행하고, 치안과 교화도 책임졌다. 이갑제에 의한 부역수취를 위해 태조는 어린도책(魚麟圖冊)이라는 토지대장을 만들고 이장으로 하여금 부역황책(賦役黃冊)이라는 조세 겸 호적대장을 만들게 했다.

그러나 이갑의 요역부담은 많은 향촌의 상층농민을 파산시켰고, 결국 명 중기 이래 요역을 면제받는 특권층인 관료·향신(鄕紳) 등에 의해 격심한 토지겸병과 지주소작제의 확대가 초래되었다. 호등제 요역조직인 이갑제가 붕괴되어가자, 정부에서는 부역제도 개혁을 점진적으로 추진했는데, 이것이 일조편법(一條鞭法)으로서 장거정 때의 토지측량으로 일단 완결을 짓게 되었다.

그 내용은 호등제를 폐기하고 전토(田土)와 정남(丁男)을 단위로 직접 부과함으로써 각종 이갑요역을 지은(地銀)과 정은(丁銀)으로 통일하여 전부 은납(銀納)시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은본위제의 확립과 더불어 이 무렵부터 유럽 세계와의 통상이 이루어져 견직물·면직물·자기 등을 수출함으로써 중국에 대량으로 은이 유입되었다.

한편 이갑제를 통한 향촌사회의 교화는 유교적인 이념을 국시로 하던 당시의 전제군주체제의 확립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었는데, 태조는 육유(六諭:孝順父母·和睦鄕黨·尊敬長上·敎訓子孫·各安生理·莫作非違)를 제정, 반포하여 향신(鄕紳), 촌락의 장로, 이노인(里老人:자치적 재판 교화 담당)을 매개로 하여 농민 교화·통제에 주력했다.

지배신분은 관료층과 그 모태로서의 지주층이었으며, 명대에는 향신(鄕紳)이란 새로운 신분계층이 등장했다.

원의 지배하에 한때 폐지된 과거제가 부활되고, 과거준비를 위한 학교제도가 부활되자, 학교의 학생인 생원과 향시에 통과한 거인(擧人)이 사회신분화되어, 전직·현직 관료와 같이 지방정치에 큰 발언권을 가졌다. 이들을 일괄해서 향신이라 했는데, 일반 서민과는 명확히 구분된 사회지배신분을 구성했다. 특히 명 말기에 향신들이 주도가 되어 반환운동(反宦運動)이 일어났다.

이러한 관료·향신 등에 대응되는 피치자계급은 민(民)·군(軍)·장(匠)으로 대별되고 그 아래에 소수의 노예와 천민이 있어 부세와 요역의 의무가 있었다. 토지는 도시에 거주하는 관료·상인의 수중에 집중되었고, 농민들은 인식적 지배를 매개로 지주제와 결합되어 있었다.

명대에 와서는 원대말 전란기에 쇠퇴한 유통경제가 활기를 되찾고, 강남지역의 개발, 은본위제의 확립 등으로 상품화폐경제, 사회적 분업이 발달했다.

특히 목화의 재배와 상품화가 진전되어, 원대부터 전국적으로 보급된 목면이 명대에 와서 대중의 옷감이 되었기 때문이다. 목면생산의 중심지는 양쯔 강 유역이었고, 목화의 재배와 더불어 면방직이 발달했다. 여기에서 생산되는 상품은 주로 북중국과 양쯔 강 유역에서 판매되었는데, 해외에까지도 선전되었다. 한편 견직업도 이 시기에 오면 상당히 발전하는데, 가장 우수한 생사와 견직이 생산되어, 면직물과 같이 강남농촌을 발달시켰다.

이와 같은 상품생산의 농가경제 침투와 생산물의 전국적인 유통은 먼 지방의 유통권을 지배하는 상업자본(客商資本)을 대두시켰는데, 북중국 시장을 독점한 산서상인과 남중국 시장을 독점한 신안상인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상업활동뿐 아니라 고리대 자본으로 농촌을 수탈하여, 소농민의 몰락을 촉진했다. 이에 따라 농촌내에서는 지주전호의 대립과 항조운동이 일어났으며, 명 말기에는 노변(奴變)이라는 노예의 반란, 직용(織傭)의 변(變)이라는 직물공장 고용인들의 반항, 군대에서의 병변(兵變) 등 여러 민의 항쟁이 일어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명의 사회와 경제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