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르크스의 초기 런던 시대

다른 표기 언어

파리로부터 다시 한번 추방된 마르크스는 1847년 8월 런던으로 향했고 런던은 그의 마지막 정착지가 되었다.

마르크스는 자유주의적 부르주아와 제휴하려는 자신의 계획이 무위로 돌아간 것을 못내 아쉬워하면서 재차 런던의 공산주의자 동맹에 합류했고, 약 1년 동안 보다 대담한 혁명정책을 추진하게 된다. 그는 경제적인 위기가 곧 혁명운동을 소생시키리라고 기대했으나 이러한 기대가 시들어지자 스스로 '혁명의 연금술사'라고 불렀던 사람들, 즉 직접행동을 통해 혁명의 도래를 앞당길 것을 주장했던 아우구스트 폰 빌리히와 같은 공산주의자들과 다시 한번 대치하게 되었다.

마르크스는 1850년 9월 이들이 유물론을 이상주의로 대체했다고 비판하면서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그들은 실제적인 조건들을 도외시한 채 순수의지를 혁명의 원동력으로 간주한다. 우리가 노동자들에게 '여러분들은 단순히 여러분들의 여건을 개선시키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를 변화시키고 정치적 권력을 분담하기 위해 수십 년 간의 내란과 국제전쟁을 겪어야 한다'고 말하는 반면 그들은 이와 대조적으로 '우리는 즉시 권력을 쟁취해야 한다'고 부추기고 있다."

급진주의자들은 마르크스가 노동자 교육동맹의 정치경제학 강사가 되기를 자처했다며 그를 비꼬았고, 마르크스의 공산주의자 모임 출석 횟수는 점차 줄어들었다.

1852년에 카를 마르크스는 쾰른에서 정부전복 혐의로 체포된 11명의 공산주의자들을 변호하는 데 혼신의 힘을 기울였으며 이를 위하여 팜플렛을 작성하 기도 했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Der Achtzehnte Brumaire des Louis Bonaparte〉이 씌어진 것도 이무렵인데 여기서 그는 농민계급의 지지를 바탕으로 관료주의적 절대국가가 형성되는 과정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있다.

이후의 12년간은 마르크스의 표현에 따르자면 두 사람에게 '고립'의 시간이 되었다. 1850~64년 마르크스는 물질적인 궁핍과 정신적인 고통 속에서 살았다. 재원은 고갈되고 단 한번을 빼고는 수입이 있는 직업을 가지지 못했다. 1850년 3월 카를과 예니, 그리고 4명의 자녀들에게 강제퇴거명령이 내려졌고 자산은 압류되었다. 자녀들 중 몇몇은 죽었다. 그중에는 그가 '부르주아 사회의 희생자'라고 이야기한 아들 귀도와 딸 프란치스카가 포함되어 있었다.

예니는 아이들의 관을 살 돈을 마련하려고 거의 미친 듯이 뛰어다녔다. 6년을 대부분 빵과 감자로 연명하며 가족은 소호의 방 2칸에서 삶을 꾸려나갔고, 아이들은 몰려온 채권자들에게 "마르크스 선생님은 2층에 계시지 않아요"라는 거짓말을 해야만 했다. 빚쟁이들을 피해 카를은 맨체스터로 도망해야 했고 아내 예니는 신경쇠약에 시달렸다.

이러한 역경의 시간을 통해 엥겔스는 재정적인 후원을 아끼지 않았다. 처음에는 맨체스터 소재 어먼앤드엥겔스사(社)의 평사무원에 불과했으므로 돈의 액수가 많지 않았지만 1864년 그가 동업자가 되었을 때는 지원금의 규모도 커졌다. 마르크스는 엥겔스와의 우정을 자랑으로 여겼고 그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용납하지 않았다. 아내의 친지들과 친구 빌헬름 볼프의 유산으로 마르크스의 경제적 고통은 크게 경감되었다.

마르크스는 미국에 비교적 지속적인 수입원을 가지고 있었는데, 푸리에주의에 공감하고 있던 〈뉴욕 트리뷴 The New York Tribune〉의 유럽 통신원이 된 것이었다.

1851~62년 카를은 500편에 가까운 기사와 논설들을 기고하면서(그중 1/4은 엥겔스 제공) 인도와 중국, 영국과 스페인의 사회운동과 소요들을 분석·검토했다. 1859년 마르크스는 경제이론에 관한 최초의 저술인 〈정치경제학 비판 Zur Kritik der politischen Okonomie〉을 완성했다. 〈정치경제학 비판〉의 서문에는 유물사관에 도달하게 된 논리과정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물질적인 생산양식은 삶의 사회적·정치적·정신적 차원들을 결정한다. 인간의 의식이 그들의 존재를 규정짓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그들의 사회적 생활이 의식을 좌우한다."

카를은 대영박물관에서 경제·사회사 연구에 몰두하는 것을 주요일과로 삼았으며 독일의 새로운 노동운동에 동참해달라는 페르디난트 라살의 권유를 거부했다.

라살은 혼자서 '전(全)독일 노동자동맹'의 결성에 착수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철학가

철학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르크스의 초기 런던 시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