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마르크스의 브뤼셀 시대

다른 표기 언어

브뤼셀에서의 다음 2년간은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동작업이 심화되던 시기였다.

엥겔스는 아버지의 직물공장이 위치해 있던 맨체스터에서 산업혁명의 암울한 현실들을 처음 접했다. 청년 헤겔 학파에 속했던 그는 공산주의 랍비라 불렸던 모제스 헤스의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자가 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로버트 오언의 추종자들과 교류했다. 이제 그들 사이의 공통된 견해를 확인한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두 사람의 지적 자원을 결합시켜 신학자 브루노 바우어의 헤겔주의적 관념론에 대한 장문의 비평 〈신성가족 Die heilige Familie〉(1845)을 펴냈다.

그들의 다음 저서 〈독일 이데올로기 Die deutsche Ideologie〉는 역사의 각 단계에서 지배계급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하기 위해 사회공동체를 구조화한 방식들을 규명함으로써 역사적 유물론을 처음으로 완전하게 제시하고 있지만, 어떤 출판업자도 선뜻 나서지 않아 두 사람의 일생 내내 빛을 보지 못했다. 마르크스는 주요 노동운동지도자들과의 대결을 통해 자신의 공산주의 사상을 확립시켜나갔다.

1846년 그는 빌헬름 바이틀링의 도덕주의적 태도를 혹평하면서 프롤레타리아트는 부르주아 사회를 뛰어넘어 공산주의 단계로 곧장 비약할 수 없으며, 노동운동은 윤리적 구호가 아니라 과학적인 근거를 필요로 한다고 역설했다.

〈철학의 빈곤 Das Elend der Philosophie〉(1847)은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의 〈빈곤의 철학 Philosophie de la misère〉(1846)을 논박한 것이었다.

프루동이 경제체제의 대립개념들로부터 단점을 지양하고 장점을 되살리려 노력했던 반면, 마르크스는 계급투쟁에 상호 충족적 타결점은 있을 수 없으며 사회공동체의 구조는 생산력과 생산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역사의 일시적인 현상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맷돌은 봉건영주의 지배를, 증기기관은 산업자본가의 지배를 이끌어냈다는 설명이었다. 프루동의 추론양식은 역사의 기본법칙을 파악하는 데 실패한 소부르주아적 사회인식으로 여겨졌다.

사건들의 기이한 전후관계가 〈공산당선언〉을 탄생시켰다. 1847년 6월 독일계 이민 수공업자들로 구성된 '의인동맹'(義人同盟)이 런던에서 회합을 갖고 정치적 강령 채택을 결의했다.

카를 마르크스는 이들로부터 참여의 요청을 받았고 숙고 끝에 동료 엥겔스와 동맹에 가입했다. 의인동맹은 '공산주의자 동맹'으로 명칭을 변경한 뒤 민주적 헌장을 제정했다. 정강 작성을 위임받은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7년 12월 중순부터 1848년 1월까지 정강의 초안작업에 몰두했다. 〈공산당선언〉은 "지금까지의 모든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라는 명제를 통해 〈독일 이데올로기〉에서 정립된 유물사관을 요약하고 계급사회는 프롤레타리아트의 승리에 따라 역사에서 자취를 감추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선언은 '소외'류의 박약한 추론에 근거한 모든 사회주의 형태를 비판하고 유토피아 사회를 지향한 공동체적 실험들을 계급투쟁을 무마시키는 '반동적 분파'로 간주해 단호히 거부했으며 누진과세, 상속의 폐지로부터 아동의 무상교육에 이르기까지 공산주의 사회로 나아가는 첫 단계로서 10개의 즉각적인 조치를 제시했다. 〈공산당선언〉은 "프롤레타리아가 잃을 것은 속박의 사슬밖에는 없다. 그들은 세계를 얻을 것이다.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는 말로 끝을 맺는다.

1848년초의 몇 개월 동안 프랑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에서 돌연히 혁명이 촉발되었다.

마르크스는 임시정부의 초청을 받아 파리로 떠났는데 벨기에 당국으로부터 추방령이 내려지기 전의 시기적절한 것이었다. 그러나 독일의 망명자들은 무력으로 조국을 해방시키자는 게오르크 헤르베크의 선동에 반대한 마르크스로부터 멀어져갔다.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혁명이 가열되고 있을 때 카를 마르크스는 라인란트로 되돌아왔다. 쾰른에서 그는 노동자계급이 민주적 부르주아지와 연합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자동맹 지도자들의 프롤레타리아 혁명노선에 제동을 가하고 노동자계급은 프랑크푸르트 의회에 대표를 파견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마르크스의 견해는 〈공산당선언〉이 유보되어야 하며 공산주의자 동맹은 해체되어야 한다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견해와 일치했다. 1849년 6월 카를 마르크스는 새로이 창간된 〈신(新)라인 신문 Neue Rheinische Zeitung〉을 통해 입헌적 민주주의와 러시아와의 개전을 촉구했다. 마르크스는 노동자동맹의 급진파 지도자 안드레아스 고트샬크가 체포되었을 때 그를 대신해 라인란트 민주의회를 창설했으며(1848. 8), 국왕이 베를린의 프로이센 의회를 해산시키자 지하저항운동을 돕기 위해 무기와 병력을 끌어모았다.

자유주의적 부르주아들은 〈신라인 신문〉에 대한 후원을 중단했고 카를 자신은 납세거부의 조장을 비롯한 여러 혐의를 받아 기소되었다.

법정에서 마르크스는 프로이센 왕이 불법적인 반혁명운동에 관여했다는 요지로 자신을 변호했으며 배심원단은 호의를 가지고 만장일치로 그를 방면시켰다. 그러나 최후의 희망 없는 싸움이 바덴과 드레스덴에서 타올랐고, 1849년 5월 16일 카를 마르크스에게 추방령이 내려졌다. 붉게 인쇄된 〈신라인 신문〉의 폐간호는 센세이션을 불러일으켰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정치가

정치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마르크스의 브뤼셀 시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