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프족

다른 표기 언어 Lapp

요약 노르웨이·스웨덴·핀란드 북부와 콜라 반도에 사는 원주민.

라프족(Lapp)

라프족의 깃발

ⓒ Jeltz / wikipedia | Public Domain

랄어족의 핀우고르어파에 속하는 3종류의 라프어를 쓴다. 거의 모든 라프인들이 라프어 이외에 다른 언어도 자유로이 쓰며 라프어를 할 줄 모르는 이들도 많다.

이들은 최소한 2,000년 동안 이 지역에 흩어져 살아왔다. 핀인(人)이 핀란드에 들어온 AD 100년쯤 라프족들의 거주지가 핀란드 전역으로 확대되었을 것으로 보이지만 오늘날에는 북쪽 끝의 지역에서만 산다.

역시 스웨덴과 노르웨이에서도 이들은 북부로 밀려났다. 기원은 분명하지 않으나 어떤 학자들은 고(古)시베리아인에 포함시키는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중부 유럽 고산대 민족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신체적 특징에는 서로 다른 점이 많다. 핀란드의 스콜트라프인(러시아의 라프족 역시)들은 러시아 정교를 믿으며 그밖의 대다수는 루터파이다. 그리스도교가 전파되기 전에는 샤먼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적어도 북부지역 대부분에서는 강력한 복음파 조합교회주의가 활동하면서 개인의 금욕과 공개적으로 죄를 고백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각 지역교회는 실제적인 자치권을 갖고 있다.

노르웨이 라프족의 2/3, 곧 라플란드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은 어부들이다. 다른 라프족들은 농업, 산림업, 민물 어업, 도시의 여러 가지 일자리나 순록 사육으로 생계를 꾸려나간다. 먼 옛날부터 사냥을 하기도 하고 짐을 나르거나 미끼로 사용하기 위해 순록을 약간씩 기르기는 했으나, 많은 무리를 거느리며 본격적인 유목을 시작한 것은 몇 세기 전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유목생활도 거의 사라졌다. 이제는 가족이나 무리 단위로 가축과 함께 이동하지 않고 가족이 영구적인 겨울주거지나 여름주거지에 머무는 동안에만 가축을 몰고다니는 방식을 취한다.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친족관계는 형제·자매 및 그 배우자들 사이의 관계로서 이들이 보통 하나의 순록 사육단위가 된다. 사촌들도 '반형제자매'라고 하여 이 형제관계에 포함되며, 개별 순록사육 단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순록은 집단적으로 사육하나 소유권은 각 개인에게 있다(→ 이목).

오늘날에는 유목민들도 화폐경제 생활을 하며 라프족이든 아니든 대체로 어부나 농부들보다 부유하다. 그러나 유목민들이 누리는 부는 그들이 험난한 생활조건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라프족들은 이미 예술·학문 분야에 진출해 있다.

라프 소수민족 문제에 관심이 쏠리고 있기 때문에 당국은 학교에서 국어 이외에 라프어를 쓰게 한다든지 순록 목축지를 보호하는 방법들을 통해서 라프족 사회가 유지되도록 하라는 대중의 압력을 받고 있다. 각국에는 전국적인 라프인 협회가 있으며 라프족 신문 몇 가지와 라디오 방송이 있다.→ 라플란드

라프족(Lapp)의 집

라프족이 살던 귀틀집

ⓒ Arild Vågen / wikipedia | CC BY-SA 3.0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세계사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프족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