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라이노타이프

다른 표기 언어 Linotype

요약 1884년 오트마르 메리겐탈러가 미국에서 특허낸 자동식자기의 상표명.

기존의 모노타이프와는 달리 한 글자씩 주조하는 것이 아니라 1행씩 활자합금으로 주조한다. 오늘날 라이노타이프는 사진식자로 거의 대치되었지만, 많은 양의 연속된 원고를 활자로 짜야 할 때 자주 사용된다.

이 기계를 조작하는 사람은 인쇄원고에 지정된 크기와 자체를 가진 활자 1벌을 주조하기 위해 놋쇠 모형이 든 자모고를 고른다.

키보드를 두드려(또는 컴퓨터의 종이나 자기 테이프를 구동시켜) 원고의 각 행을 조판하는 데 필요하며 테이퍼형 스페이스밴드(각 행이 완전히 차도록 어간(語間)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장치)가 부속된 모형을 고른다. 각 모형은 주형이 있는 조립장치로 보내진다.

기계로 만들어진 슬러그는 지정된 가로행이나 세로행 크기와 같은 활자합금(납·안티몬·주석의 합금)의 직6면체이다. 이 슬러그 윗면에 만들어진 글자는 나중에 인쇄될 행에 대해 좌우가 바뀐 거울상이다. 고온의 금속으로 주조한 뒤에는 해판 장치가 각 모형을 저장소의 원래 자리로 돌려놓는다. 활자의 슬러그는 잠시 동안 공기냉각된 뒤, '식자기'에 놓여 조립되고 인쇄기의 적당한 위치에 삽입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기계

기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이노타이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