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떡국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떡을 넣고 끓인 한국의 음식. 설날 아침에 차례를 드린 후 웃어른께 세배를 하고 서로 덕담을 주고받은 후 세찬으로 떡국을 나눠 먹는 것이 한국의 풍습이다. 떡국의 기본재료는 가래떡이다. 멥쌀가루를 쪄서 떡메로 쳐서 끈기 있게 만든 다음 손바닥으로 굴려 모양이 긴 가래떡을 만든다. 떡이 어느 정도 굳어서 썰기에 적당해지면 어슷썰기로 썰어 두고 먹을 때마다 끓는 장국에 쇠고기나 닭고기 또는 돼지고기나 꿩고기를 넣어 끓인다.

떡국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개요

떡을 주재료로 하는 국. 한국의 보편적인 국들과 달리 떡이 들어갔기 때문에 국물이 맑지 않고 약간 걸쭉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는 주로 설날 아침에 새 옷으로 갈아입고 조상께 차례를 드린 후 웃어른께 세배를 하고 서로 덕담을 주고받고나서 세찬으로 떡국을 나눠 먹는다. 이날 떡국을 몇 그릇 먹었느냐가 곧 나이를 몇 살 더 먹었냐는 물음을 대신하기도 한다. 설날에 떡국을 먹는 것에는 재료인 가래떡처럼 길게 살라는 의미와 동그란 모양의 떡을 먹고 많은 돈을 벌길 바란다는 의미가 있다.

유래

떡국은 조선시대에도 있었던 것으로, 조선 후기의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멥쌀가루를 쪄서 안반 위에 놓고 떡메로 무수히 짓찧어서 길게 늘여 만든 떡을 흰떡이라 한다. 이것을 얄팍하게 똑같이 썰어서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꿩고기를 넣어 끓인 다음 후춧가루를 친 것을 떡국이라 한다. 이것으로 제사도 지내고 손님 대접으로 쓰므로 세찬으로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국에 넣어 끓였으므로 옛날에 습면이라고 부르던 것이 바로 이것과 같다. 시장에서 시절음식으로 이것을 판다. 속설에 나이를 물을 때 떡국을 몇 사발 먹었느냐고 한다. 생각컨대 송(宋) 육방옹의 <세수서사시(歲首書事詩)>의 주(註)에 시골풍속으로서 설날에는 반드시 떡국을 쓰는데, 이것을 동혼돈 또는 연반탁이라고 했다. 이것이 대개 옛 풍속이다.”

종류

기본적으로는 가래떡을 넣어 만들지만, 개성 지방에서는 흰떡을 누에고치 모양으로 빚어 만든 조랭이떡을 넣어 조랭이떡국으로도 만든다. 이 밖에도 지역에 따라 고기 육수의 종류에서 차이가 나고, 해안지역에서는 해산물을 넣고 떡국을 끓이기도 한다. 이웃 나라인 중국에서는 떡을 네모나게 빚어 국에 넣어 먹는 풍습이 있으며, 서북쪽 지역에서는 쌀이 아닌 밀로 만든 떡을 넣은 떡국이 있다. 일본에는 찹쌀떡을 넣고 끓인 떡국이 있으며 이를 ‘오조니’라고 한다.

재료

떡국의 기본재료는 가래떡으로, 멥쌀가루를 쪄 떡판 위에 놓고 떡메로 쳐서 끈기 있게 만든 다음 손바닥으로 굴려서 가늘고 길게 만든다. 떡이 어느 정도 굳어서 썰기에 적당해지면 어슷썰기로 썰어 두어 떡국용으로 준비해 둔다. 현대에는 방앗간에서 쌀가루를 불려 익힌 후 기계에 넣어 가래떡을 뽑아 만든다.

조리법

알맞은 크기로 자른 마른 떡을 물에 불린 후, 끓는 장국에 넣고 쇠고기나 닭고기 또는 돼지고기나 꿩고기와 함께 좀 더 끓인다. 이때 간장을 넣어 간을 하는데, 너무 많이 넣으면 색이 진해지므로 조금만 넣고 나머지는 소금으로 간한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풍습에서는 흰 가래떡을 정결하게 썰어 맑은장국물에 넣어서 끓였다. 완성된 떡국에는 반드시 떡국 꾸미를 얹어서 모양도 좋고 맛도 좋게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3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떡국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떡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