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동국세시기

다른 표기 언어 東國歲時記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인 홍석모(洪錫謨 : ?~?)가 우리나라 연중행사와 풍속 등을 정리하여 설명한 세시풍속지.

1책. 필사본. 책 맨 앞의 이자유(李子有)의 서문이 1849년(헌종 15) 9월 13일에 씌어진 것으로 보아 1849년에 완성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 책에서는 정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의 행사·풍속을 23항목(광문회본은 22항목)으로 분류하여 월별로 정연하게 기록하고 있다.

정월에는 문안비(問安婢)·세함(歲銜)·떡국 등 여러 가지 새해행사를 열거하고 있는데, 설빔을 세장(歲粧)이라고 하는 등 순수한 우리말을 구태여 한자어로 고쳐 쓰려 한 흔적이 보인다. 각 지방의 풍속으로는 양서의 용의 알 뜨기, 충청도의 횃불싸움, 관동지방의 새 쫓기, 영남의 칡줄다리기 등이 소개되어 있고, 특히 제주도의 풍습은 본토와 다른 것이 많아 많은 기사가 실려 있다. 또한 각 시기마다의 별식인 시식(時食)을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이 책은 종래 민속을 해설한 책 중에서 가장 상세하고 세밀하며, 당시 이미 없어진 민속도 〈동국여지승람〉에서 전제하여 실어놓았다. 그리고 각 지방마다 차이가 있는 풍속들도 많이 기술되어 있는 자료집으로서, 우리나라 세시풍속 연구의 중요한 기본문헌이다. 그러나 저자는 우리나라 세시풍속의 시원과 유래를 억지로 중국에서 찾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중국중심의 사고방식에서 나오는 시대적 한계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조선

조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동국세시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