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개화기 이전
우리나라에는 일찍이 고려시대부터 전국적으로 역도(驛道)가 조성되었으며, 이 교통통신망이 조선시대로 이어지면서 더욱 발전되었다.
의주로(義州路:서울-평양-의주)·경흥로(慶興路:서울-함흥-경흥)·평해로(平海路:서울-삼척-평해)·동래로(東來路:서울-충주-동래)·제주로(濟州路:서울-해남-제주)·강화로의 6대 간선도로가 서울을 중심으로 해서 전국을 방사상으로 연결하고 있었으며, 이밖에도 유곡-통영, 삼례-통영, 소사-보령(충청수영) 노선 등 주요간선도로가 놓여 있었다.
옛 길은 본래 통치의 목적으로 닦은 것이었지만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중부·남부 지방의 도로들은 점차 민간교역로의 기능을 맡게 되었고, 북부지방의 도로는 변방의 경비나 사신왕래 등을 위한 군사적·외교적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다. 인구와 산업은 주로 한반도의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북부지방에 비해 중부·남부의 도로망이 보다 조밀하게 짜여져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도로를 중요도에 따라 대로(大路)·중로(中路)·소로(小路)로 나누고, 각각의 도로폭은 대로 12보, 중로 9보, 소로 6보로 정했다.
그러나 자세한 사항은 지방마다 지형여건에 따라 다소 다를 수도 있었다. 도로표지로는 일정한 거리마다 돌무지를 쌓고 장승을 세워 사방으로 통하는 길의 리수와 지명을 기록했고, 주요도로에는 얇은 돌판을 깔거나 작은 돌, 모래, 황토 등으로 포장을 했다. 도로변의 휴식시설로는 대략 30리마다 관리들을 위해 관(館)·원(院) 등의 숙박시설을 설치했고, 민간여행자와 상인들은 점(店)·주막·객주(客主) 등을 이용했다.
이러한 휴식시설 인근에는 대부분 길을 따라 가촌 형태의 마을이 발달되었는데, 지금도 '원' 또는 '점' 등과 같이 과거 노변취락이었음을 나타내는 지명이 남아 있는 곳을 많이 볼 수 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조선시대의 교통통신제도가 폐지된 데 이어 철도를 비롯한 새로운 교통수단들이 등장함에 따라 옛 길과 노변취락들은 점차 쇠퇴했다.
일제강점기의 도로
1904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우리나라의 도로관리는 사실상 일제의 손으로 넘어갔다.
1906년 치도국(治道局)이 신설된 뒤 1907년부터는 주요 간선도로의 신설·개수 사업이 시작되었는데, 이렇게 해서 일제에 의해 닦여진 도로를 당시에는 '신작로'(新作路)라고 부르기도 했다.
한일합병 이후 일제 36년 동안 일본인들은 대륙진출, 군사활동 지원, 경제수탈 등의 목적을 위해 대대적인 도로건설사업을 벌였다. 그결과 1945년 무렵에는 전국적으로 국도 5,263㎞, 지방도 9,997㎞, 시군도 8,771㎞로 총연장 2만 4,031㎞의 도로망이 갖추어졌다. 또한 일제는 주요도시의 가로망을 정비함에 따라 일본인 거주지역에는 격자형 가로망으로 짜여진 신시가지가 형성되어 재래 시가지의 불규칙한 도로망과 대조를 이루기도 했다.
해방 이후의 도로 발달
해방 당시 도로의 대부분은 포장이 안 된 자갈길이었고, 도로시설은 매우 빈약한 상태였다.
더구나 곧바로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도로 사정은 더욱 악화되어, 사실상 1950년대는 파손된 도로와 교량의 복구에 전념했던 시기라고도 말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는 정부의 경제개발사업 추진에 따라 도로의 개선과 확대·포장 사업이 대대적으로 시행되었다. 그 결과 30년 후인 1990년 남한의 도로 연장은 5만 6,715㎞, 2001년 9만 1,396㎞로서 1960년대초의 2만 7,000㎞에 비해 크게 늘었고, 포장률도 1960년대초 5%에 불과하던 수준에서 1999년말 현재 일반국도 포장률이 98%에 이르고 지방도와 시도·군도의 포장률은 77%, 78%, 46%에 달할 정도로 도로 사정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변화는 단순히 양적으로 도로가 늘어나고 포장이 많아지는 데 그친 것이 아니었다. 신설되는 도로들은 구도로를 답습하는 대신 전혀 새로운 노선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많았고, 고속도로 등과 같이 전에 없던 새로운 도로 형태가 도입되었으며, 신도시와 산업기지가 건설됨에 따라 새로운 교통요지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오늘날의 도로망은 조선시대로부터 일제시대에 이르는 오랜 세월 동안 이루어졌던 도로 구조와는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바뀌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의 발달은 국민생활에 여러모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 생활권이 확장되어 전 국토가 1일 생활권의 범위에 들게 된 것은 공업을 지방으로 분산시키고 관광산업 및 농업이 발달하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도로의 발달로 인해 인구의 대도시 집중 현상이 심화되었고, 농어촌 지역에서는 면소재지 등 조그만 중심지들이 쇠퇴했으며, 자동차가 많아짐에 따라 교통사고와 공해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의 도로체계
우리나라의 도로는 도로법 및 고속국도법에 의해 고속국도(高速國道)·일반국도(一般國道)·특별시도(特別市道)·지방도(地方道)·시도(市道)·군도(郡道) 등 6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있다.
고속국도와 일반국도는 중앙정부가 관할하며, 특별시도·지방도·시도·군도는 각각 특별시·광역시·도·시·군 등의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 그 노선을 지정·관리한다. 특히 고속국도의 관리는 1969년에 발족된 한국도로공사에 위임되어 있다. 고속국도는 자동차 전용의 고속 교통에 사용되는 도로이고, 일반국도는 주요도시, 지정항만, 중요한 비행장 및 관광지 등을 연결하는 도로인데, 이 2가지 도로가 우리나라 도로망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지방도는 도청소재지로부터 시청·군청 소재지에 이르는 도로, 시청·군청 소재지 상호간을 연결하는 도로, 도내의 비행장·항만·역을 연결하는 도로, 기타 지방개발에 특히 중요한 도로 등으로 구성되며, 지방에서는 국도 다음으로 중요한 도로이다.
군도는 비록 도로 중에서 가장 서열이 낮기는 하지만 농촌에서의 경제활동과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직결되는 긴요한 도로이다. 일반국도·특별시도·지방도·군도가 노선연장이 가장 길어 각각 전국 도로의 약 1/5씩을 차지하고, 나머지 1/5의 노선이 시도와 고속국도에 해당된다. 도로망은 한반도의 동고서저 지형을 반영해, 서부 평야지대의 도로망이 동부 내륙산악지대에 비해 보다 더 조밀하고 종횡으로 잘 연결되어 있다.
고속도로
우리나라의 고속도로는 자동차 전용도로로서 도로시설이 우수하고 승객과 운전자의 휴식 및 차량의 정비를 위한 휴게소·정비소·주유소와 같은 부대시설도 노선을 따라 여러 곳에 마련되어 있다.
일부 구간에는 비행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비상활주로의 기능을 겸하기도 한다. 고속도로는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전 노선이 유료도로로서 통행료를 징수한다. 고속도로는 대부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국도이지만, 부산 등 일부 대도시의 경우에는 시내교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도시고속도로'가 설치된 곳도 있다.
고속국도는 제2·3차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시행된 1967~76년의 10여 년 동안 집중적으로 주요 노선들이 건설되었고, 이후 10여 년이 지난 1980년대 중반부터 다시 노선의 신설·확장 사업이 전개되는 과정을 밟아왔다.
1967년 경인선(서울-인천)의 4차선 고속도로가 착공되어 이듬해말 완공을 본 것이 고속도로망의 첫 출발이었고, 경부선(서울-부산)은 1968년 서울-오산 구간이 준공된 뒤 후속 노선 건설이 단계적으로 이어져 1970년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울산선(울산-언양 1969)·호남선(회덕-전주 1970, 전주-순천 1973)·영동선(신갈-새말 1971, 새말-강릉 1975)·남해선(부산-순천 1973)·동해선(강릉-삼척 1975)·구마선(대구-마산 1977)도 1970년대 초·중반에 개통된 노선이다. 1981년에는 남해선의 지선(부산-냉정), 1984년 88올림픽선(옥포-담양), 1987년 중부선(서울-회덕)이 각각 완공되었고 2001년 중앙선(대구-춘천)·서해안선(인천-목포)·서울외곽순환선(일산-판교-퇴계원)이 부분 또는 전면 개통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