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대전광역시의 교육·문화·관광·의료·복지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대전광역시의 교육기관, 문화시설, 관광시설, 의료시설, 복지시설 현황.

교육

전통적 교육기관으로 조선시대의 회덕향교·진잠향교가 읍내동과 교촌동에 있었으며 그밖에 원촌동의 숭현서원, 계양동의 도산서원, 탄방동의 정절서원 등이 있었다. 최초의 근대교육기관은 1911년에 세워진 회덕공립보통학교이다. 1913년 대전공립보통학교가 설립되었고 이어 각 면에 보통학교들이 차례로 설립되었다. 1920년에는 중등교육기관으로 대전공립상업보습학교가 설립되었다.

2023년 기준 유치원 251개소, 초등학교 149개교, 중학교 89개교, 고등학교 62개교가 있으며, 국군사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 국립대학교인 충남대학교(대덕캠퍼스)와 국립한밭대학교, 사립대학교인 건양대학교·대전대학교·대전신학대학교·목원대학교·배재대학교·우송대학교·을지대학교·한국침례신학대학교·한남대학교, 전문대학인 대덕대학교·대전과학기술대학교·대전보건대학교·우송정보대학·한국폴리텍IV대학이 있다.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도서관

ⓒ MinkyOh/wikipedia | CC BY 3.0

공공도서관으로는 대전한밭도서관을 비롯하여 총 24개관이 있으며 작은도서관 255개관이 있다. 총좌석수 13,205석에 소장 장서는 310만 443권이다. 이중 가장 큰 도서관은 3,468석을 갖고 있는 대전한밭도서관이다(2021).

문화

문화재로는 국가지정문화재 15점(보물 11, 사적·명승 1,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2), 지방지정문화재 122점(유형문화재 51, 기념물 46, 민속자료 2, 무형문화재 23), 문화재자료 58점, 등록문화재 20점이 있다(2016).

박물관으로는 대전시립박물관·대전선사박물관·한국족보박물관·한밭교육박물관·한국조폐공사 화폐박물관·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대청댐물문화관·옛터민속박물관·충남대학교박물관·충남대학교자연사박물관·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한남대학교 자연사박물관·대전대학교박물관·배재대학교물관·KAIST비전관 등 15개의 박물관이 있다(2021). 관저동·가수원동·대정동·쌍암동 등지에는 고인돌이 분포하며 괴정동 돌무지에서는 세형동검·다뉴세문경·동탁 등의 청동기류와 민무늬토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오정동에서는 백제·통일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토기·철제류가 발굴되었다.

국립중앙과학관

ⓒ 김광인/wikipedia | CC BY-SA 3.0

산성으로는 구성리산성(대전광역시 기념물 제6호)·월평동산성(대전광역시 기념물 제7호)·우술성(雨述城,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9호) 등이 있다. 주요 목조건축물로는 회덕향교·진잠향교를 비롯하여 회덕동춘당(懷德同春堂, 보물 제209호)·회덕쌍청당(懷德雙淸堂,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호)·회덕동춘선생고택(懷德同春先生古宅,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호) 등이 있다.

주요 전적류로는 조선초의 호구를 알 수 있는 권준(權樽)의 호구단자(戶口單子,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호), 사전인 운부군옥(韻府群玉,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3호), 송시열의 문집인 송자대전판각(宋子大全版刻,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호) 등이 있다. 능묘 및 비로는 박팽년선생유허(朴彭年先生遺墟,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1호) 및 유허비, 김익희(金益熙)의 묘(대전광역시 기념물 제5호) 등이 있다. 무형문화재로는 송순갑(宋淳甲)의 웃다리농악이 있었다(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호였으나 2001년 12월 10일 송순갑의 사망으로 해제).

전통적인 민속놀이로는 어린이들의 닭잡기놀이·이거리저거리놀이가 전해지고 있으며, 부락제로서 거리제와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동구(東區) 법동에는 대전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인 대덕법동리석장승이 있다. 설화로는 산·방죽·바위 등 자연물에 얽힌 설화가 주로 전해진다. 소제동에는 장자못 유형의 설화가 전해진다.

이 지역에 전해지는 민요는 비기능요가 주류를 이룬다. 노동요는 도시의 발달과 함께 잘 불리지 않고 있지만 근교에는 <모내기노래>·<논매기노래> 등이 일부 남아 있다. 또한 여성들이 일하며 부르는 <시집살이노래>·<나물노래>·<오라버니노래> 등이 전해진다.

1954년에 설립된 대전문화원의 주관하에 한밭제를 중심으로 각종 향토문화예술행사가 열리고 있다. 한밭제는 향토문화예술의 창달과 전통민속문화의 육성을 목적으로 하여 1983년에 시작되었으며 그후 매년 한번씩 개최되고 있다. 주요 행사로는 문화예술행사로서 시민위안잔치·한밭백일장·연극공연·합창제·시조경창대회·국악공연, 전시행사로서 대전미술인작품전·사진전, 민속행사로서 민요경창대회·씨름대회·농악경연대회·그네뛰기대회 등이 열린다.

관광

시역권 내에 있는 주요 관광자원으로 보문산공원 및 유성온천, 대덕연구단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대청 다목적 댐, 공주 동학사, 청주 속리산 등지와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로서 연중 관광객이 많이 찾고 있다.

유성온천

유성온천 족욕체험장

ⓒ 김광인/wikipedia | CC BY-SA 3.0

보문산공원은 대전시 남쪽에 위치한 보문산(458m) 주변에 조성된 총면적 15.5㎢의 공원이다. 수림이 울창하며 각종 놀이시설·전망대·야외음악당·케이블카 등이 갖추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불교유적과 전설이 남아 있어 대전시민들의 좋은 휴식공간이 되고 있다.

유성구는 오래전부터 전국적으로 알려진 온천휴양관광단지로서 온천시설은 물론 각종 위락시설을 갖추고 있어 연중 많은 관광객들이 이 지역을 찾고 있다. 최근에는 대덕연구단지가 새로운 산업관광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1993년의 대전세계박람회를 계기로 대전은 새로운 관광도시로 부상했다.

의료

2023년 기준 의료기관으로는 종합병원 10개, 병원 44개, 의원 1,094개, 특수병원 7개, 요양병원 49개, 치과병원 544개, 한방병원 13개, 한의원 495개, 조산원 1개, 부속의원 13개, 보선소 관련 의료기관 19개 등이 개설되어 있다.

복지

복지시설로는 노인복지시설 153개소, 여성복지시설 12개소, 아동복지시설 34개소, 장애인복지생활시설 186개소, 정신보건시설 35개소, 노숙인생활시설 4개소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대전광역시의 교육·문화·관광·의료·복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