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품사이지만, 발화장면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가리키는 데 쓰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대명사는 가리키는 대상에 따라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눌 수 있고 인칭대명사는 1인칭대명사, 2인칭대명사, 3인칭대명사와 재귀대명사 등이 있다.
지시대명사는 사물을 지시대상으로 하는 사물대명사와 장소를 지시대상으로 하는 장소대명사로 나뉜다. 방향을 지시내용으로 하는 방향대명사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지시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근·중칭·원칭으로 구분한다. '무엇·아무것·어디·아무데' 등은 부정칭이며, '무엇·어디' 등은 미지칭이다.
용어상으로 보면 다만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품사이지만, 실제로는 발화장면이나 담화 또는 문장 속에 주어진 대상이나 문장 자체를 가리키는 데 쓰이는 단어의 집합을 말한다.
사물에 일정한 이름을 붙이는 대신 그것을 직접 가리키는 데 쓰이므로, 같은 사물이 다른 형태로 지시될 수 있다. 예컨대 "너는 거기서 무엇을 하느냐?"란 물음에 "나는 여기서 공부를 한다"고 대답했다면 '너·나' '거기·여기'는 같은 지시물에 대하여 대명사가 다른 형태로 나타난 것이 된다. 이러한 의미상의 특수성에도 불구하고 그 기능은 명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런 점 때문에 대명사를 독립 품사로 다루지 않고 '명사' 속에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으나, 우리말의 대명사는 다른 체언에 나타나지 않는 형태 및 기능상의 특수성을 나타난다. 즉 '너·나'에 주격조사가 결합되면 '너가·나가'가 아닌 '네가·내가'로 변화하므로 명사에 주격조사가 결합한 것과 형태가 다르며, 화자와 청자의 신분차이에 따라 '너·나'가 '당신저……' 등으로 바뀐다.
대명사가 발화장면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을 직접 가리킬 때 이를 화용적 용법이라 하고, 담화나 문장 속에 주어진 인물이나 사물 또는 문장 자체를 가리킬 때 이를 대용적 용법이라 한다. 화용적 용법에서는 이름이 없거나 모르는 대상도 가리킬 수 있으며(저것은 무엇입니까?), 대용적 용법에서는 명사, 명사구, 구나 절, 문장의 내용을 지시할 수도 있다.
대명사는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이 무엇이냐에 따라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눌 수 있다.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여기에는 화자에 대용되는 제1인칭대명사, 청자에 대용되는 제2인칭대명사(너·너희·당신·그대·어르신……), 화자와 청자 이외에 이야기를 듣는 제3자 또는 앞에 나온 사람에 대용되는 제3인칭대명사(그·그들·이들·저들·이이·이분·저이……), 가리킴을 받는 사람의 신분이나 이름을 정확하게 모를 때 사용되는 미지칭, 불특정 인물을 가리킬 때 쓰이는 부정칭, 앞에 나온 3인칭의 되풀이를 피할 때 쓰이는 재귀대명사 등이 있다.
한편 지시대명사는 사물을 지시대상으로 하는 사물대명사(이것·저것·그것·무엇·아무것……)와 장소를 지시대상으로 하는 장소대명사(여기·저기·거기·어디·아무데……)로 나뉜다. 방향을 지시내용으로 하는 방향대명사를 설정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이리가·이리를' 등처럼 격조사가 붙기 어려운 성질이 있어 대명사라기보다는 부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지시대명사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근칭·중칭·원칭으로 구분한다. 화자에게 가깝거나 화자의 관심 대상을 나타내는 '이'를 가지는 형식(이·이것·여기·이들……)은 근칭대명사, 멀리 떨어진 대상이나 청자의 관심에는 없다고 화자가 생각하는 '저'를 가지는 형식(저·저것·저기……)은 원칭대명사이며, 청자에게 가깝거나 청자의 관심대상을 나타내는 '그'를 가지는 형식(그·그것·거기……)은 중칭대명사이다. 또한 '무엇·아무것·어디·아무데' 등은 부정칭이며, '무엇·어디' 등은 미지칭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