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당진시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군내에는 국가지정문화재 8점(보물 4, 천연기념물 1, 중요민속자료 1, 중요무형문화재 2), 도지정문화재 15점(유형문화재 3, 기념물 11,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8점이 있다. 해안지역을 중심으로 군내 여러 곳에서 신석기시대의 유물인 마제석촉·마제석검편·쌍두령을 비롯해 남방식 지석묘 등의 선사시대 유물이 많이 출토되었다.

안국사지석불입상(보물 제100호)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산성으로는 견훤이 쌓은 것으로 알려진 토미산성(土尾山城)과 퇴미산성(退尾山城)·송악산성(松嶽山城)·몽산성(蒙山城)·면천읍성·당진읍성·당진포면성 등이 있다. 불교 문화재로는 고려시대 사찰이었던 안국사(安國寺)에 있는 안국사지석불입상(보물 제100호)·안국사지석탑(보물 제101호)을 비롯하여, 지눌(知訥)이 중건한 영탑사(靈塔寺)에 있는 영탑사금동삼존불(보물 제409호)·영탑사약사여래상(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11호)·영탑사7층석탑(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16호) 등이 있다. 또한 고대면 진관리에 있는 영랑사대웅전(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5호)·성동리석불·신암사7층석탑 등이 있다. 유교 문화재로는 당진향교·면천향교를 비롯하여 사당인 한원사(韓原祠)·충장사(忠壯祠)와 동악서원(東岳書院)·오산사당(五山祠堂)·군자정(君子亭)·학유정(鶴遊亭) 등이 있다. 그밖에 김대건의 생가 터, 채운포석교비(彩雲浦石橋碑), 소난지도의 의병총(義兵塚)과 당진송산면회화나무(천연기념물 제317호), 면천은행나무(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22호) 등이 있다.

관광지로는 해당화숲이 우거진 한가로운 섬마을에 펼쳐진 난지도해수욕장과 오천저수지가 잘 알려져 있으며, 삽교천방조제와 대호방조제 축조로 그 주변지역에 관광단지가 조성되기 시작하면서 관광객이 증가했다. 관광코스로는 영랑사에서 당진포리의 은동저수지를 거쳐 난지도해수욕장으로 가는 길과 상왕산의 영탑사에서 면천읍성을 보는 길, 〈상록수〉의 저자 심훈이 소설을 쓰던 필경사와 삽교천방조제, 한진나루로 가는 길 등이 있다.

난지도해수욕장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광휴양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는 삽교천방조제 주변은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연간 관광객수는 약 460만 명이며(2006), 주로 8~10월에 관광객이 많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충청남도

충청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당진시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