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남양주시의 인구

다른 표기 언어

서울의 인구 팽창지역으로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통합전 남양주군의 인구변화를 살펴보면, 1960년에 5만 1,213명, 1970년에 7만 7,246명, 1980년에 8만 6,056명으로 20년간 3만 4,843명이 증가해 무려 68%가 증가했다. 또한 1990년의 인구는 12만 5,513명으로 1980년부터 10년간 3만 9,457명이 증가해 45.9%의 인구증가율을 나타냈다.

통합 전 미금시 역시 1980년대 이후 서울의 인구팽창 현상으로 서울 시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서 상주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그 결과 1980년 미금읍 당시 3만 8,917명이던 인구가 시로 승격된 1989년에는 7만 3,465명으로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인구의 대부분은 서부 구릉지에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금곡·도농·지금 등 3개동에 이 지역 인구의 대부분이 거주한다. 한편 1995년 통합 후 1996년 남양주시의 인구는 23만 7,224명으로 무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2024년 기준 인구는 73만 2,472명이다. 읍·면지역에 전체 시인구의 약 69%가 거주하며, 동지역에 나머지 31% 인구가 거주한다. 다산1·2동·진접읍·별내동·화도읍·와부읍·호평동·오남읍·평내동 등에 인구가 많이 분포하며, 서울로의 통근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서울의 침상도시로 자리잡아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취락은 대부분이 국도변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특히 구리시와 접해 있는 도농동, 서울-양평·서울-일동·서울-춘천 간 국도가 만나는 지금동, 행정중심지인 금곡동 일대는 도시화되어 시가지를 이루고 있으며, 이들 시가지는 국도변을 따라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남양주시의 인구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